연구보고서

연구개요
[연구목적]
인천지역 자동차 배출가스의 발생특성과 도로변 오염도 현황 등 자동차 대기오염 실태를 하악하고 이를 근거로 인천지역 자동차 대기 오염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 제안
인천지역 자동차 배출가스의 발생특성과 도로변 오염도 현황 등 자동차 대기오염 실태를 하악하고 이를 근거로 인천지역 자동차 대기 오염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 제안
연구목차
1. 서 론
2. 자동차 대기오염과 관리 정책 검토
2.1 자동차에 의해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2.1.1 자동차에 의한 오염물질의 생성
2.1.2 자동차 대기오염물질 발생인자
2.2 자동차 대기오염 관리정책의 검토
2.2.1 자동차 대기오염의 관리유형
2.2.2 자동차 연비 및 연료규제
2.2.3 제작차 배출가스 규제
2.2.4 운행차 배출가스 규제
2.2.5 대기오염 측정망을 통한 관리
2.3 자동차 대기오염 저감기술
2.3.1 가솔린 엔진과 디젤엔진
2.3.2 후처리기술
2.3.3 신형 엔진 및 대체연료기술
2.4 환경친화적 교통정책에 의한 자동차 대기오염 저감
2.4.1 대중교통수단기반확충
2.4.2 교통흐름의 원활화를 위한 교통신호체계 개선
2.4.3 주차수요 관리강화
2.4.4 경제적 인센티브 및 제도
2.4.5 수도권의 친환경적 교통정책
2.5 자동차 대기오염 관리의 사례검토
2.5.1 주요 국가의 최근 동향
2.5.2 청정연료 및 고효율차량 개발 촉진
2.5.3 자동차 대기오염에 대한 규제강화
2.5.4 자치단체의 독자적인 관리정책
2.6 자동차 대기오염에 의한 사회비용
2.6.1 대기오염의 사회적 비용
2.6.2 주요지역의 자동차오염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
3. 자동차 대기오염 배출량 산정방법
3-1 자동차 대기오염 배출량 산정의 개요
3.1.1 Hot-start 배출량
3.1.2 Cold-start 배출량(엔진 미가열 배출량)
3.1.3 증발 배출량
3.1.4 비산먼지 배출
3.1.5 타이어 마모로 인한 배출먼지
3-2 자동차 배출계수별 특성 및 비교
3.2.1 국립환경연구원의 배출계수
3.2.2 미국 EPA의 배출계수
3.2.3 유럽의 EU 배출계수
4. 자동차 대기오염 현황 및 실태
4.1 인천지역 도로변 대기오염 현황
4.2 인천지역 자동차 등록현황
4.3 주요 도로별 도로교통량 및 교통특성
4.4 인천지역 자동차 배출량 산정결과
4.4.1 자동차종류 및 지역에 따른 오염물질 배출량
4.4.2 인천지역 주요도로별 오염물질 배출량
5. 인천광역시 자동차 대기오염 관리방안
5.1 자동차 대기오염 관리의 기본방향
5.2 자동차 대기오염 관리계획 수립
5.2.1 자동차 대기오염 실태조사 및 관리계획 수립
5.2.2 천연가스 시내버스 보급 등 기존 시책의 지속 추진
5.2.3 자동차 대기오염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수집
5.3 화물차에 의한 대기오염 배출의 적극 억제
5.3.1 배출가스 원격감시장치 도입
5.3.2 운행차 중간검사의 지역특성을 고려한 제도적 보완
5.4 환경친화적 교통환경여건 조성
5.4.1 도심대기청정지역 설정 및 특정차량의 통행제한
5.4.2 고속도로 통행료의 부과체계 개선
5.5 자동차 대기오염 전담부서 설치.운영
6. 결론 및 정책제언
6.1 연구결과 요약
6.2 정책제언
2. 자동차 대기오염과 관리 정책 검토
2.1 자동차에 의해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2.1.1 자동차에 의한 오염물질의 생성
2.1.2 자동차 대기오염물질 발생인자
2.2 자동차 대기오염 관리정책의 검토
2.2.1 자동차 대기오염의 관리유형
2.2.2 자동차 연비 및 연료규제
2.2.3 제작차 배출가스 규제
2.2.4 운행차 배출가스 규제
2.2.5 대기오염 측정망을 통한 관리
2.3 자동차 대기오염 저감기술
2.3.1 가솔린 엔진과 디젤엔진
2.3.2 후처리기술
2.3.3 신형 엔진 및 대체연료기술
2.4 환경친화적 교통정책에 의한 자동차 대기오염 저감
2.4.1 대중교통수단기반확충
2.4.2 교통흐름의 원활화를 위한 교통신호체계 개선
2.4.3 주차수요 관리강화
2.4.4 경제적 인센티브 및 제도
2.4.5 수도권의 친환경적 교통정책
2.5 자동차 대기오염 관리의 사례검토
2.5.1 주요 국가의 최근 동향
2.5.2 청정연료 및 고효율차량 개발 촉진
2.5.3 자동차 대기오염에 대한 규제강화
2.5.4 자치단체의 독자적인 관리정책
2.6 자동차 대기오염에 의한 사회비용
2.6.1 대기오염의 사회적 비용
2.6.2 주요지역의 자동차오염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
3. 자동차 대기오염 배출량 산정방법
3-1 자동차 대기오염 배출량 산정의 개요
3.1.1 Hot-start 배출량
3.1.2 Cold-start 배출량(엔진 미가열 배출량)
3.1.3 증발 배출량
3.1.4 비산먼지 배출
3.1.5 타이어 마모로 인한 배출먼지
3-2 자동차 배출계수별 특성 및 비교
3.2.1 국립환경연구원의 배출계수
3.2.2 미국 EPA의 배출계수
3.2.3 유럽의 EU 배출계수
4. 자동차 대기오염 현황 및 실태
4.1 인천지역 도로변 대기오염 현황
4.2 인천지역 자동차 등록현황
4.3 주요 도로별 도로교통량 및 교통특성
4.4 인천지역 자동차 배출량 산정결과
4.4.1 자동차종류 및 지역에 따른 오염물질 배출량
4.4.2 인천지역 주요도로별 오염물질 배출량
5. 인천광역시 자동차 대기오염 관리방안
5.1 자동차 대기오염 관리의 기본방향
5.2 자동차 대기오염 관리계획 수립
5.2.1 자동차 대기오염 실태조사 및 관리계획 수립
5.2.2 천연가스 시내버스 보급 등 기존 시책의 지속 추진
5.2.3 자동차 대기오염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수집
5.3 화물차에 의한 대기오염 배출의 적극 억제
5.3.1 배출가스 원격감시장치 도입
5.3.2 운행차 중간검사의 지역특성을 고려한 제도적 보완
5.4 환경친화적 교통환경여건 조성
5.4.1 도심대기청정지역 설정 및 특정차량의 통행제한
5.4.2 고속도로 통행료의 부과체계 개선
5.5 자동차 대기오염 전담부서 설치.운영
6. 결론 및 정책제언
6.1 연구결과 요약
6.2 정책제언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