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20191015_160605.jpg

교육복지

인천시민의 성의식 조사 및 정책과제

  • 연구자
  • 발행년도

    2004

  • 연구기간

    2004.01.01 ~ 2004.06.30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연구 목적 및 내용]

경제활동참가율의 증가, 교육 수준의 증가 등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개선되고 있지만 성폭력과 성매매의 증가 등은 여성들의 사회활동을 위축시키고, 삶을 왜곡시키고 있다. 인천시는 항구, 미군기지, 공단 지역 등 역사적으로 성문화에서 취약하기 쉬운 지역적 기반을 가지고 있다. 인천시는 이러한 왜곡된 성문화를 바로잡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은 도시이다.

한국 사회에서 성문제가 여성 지위와 연관되어 조명되기 시작한 것은 얼마 되지 않았지만 이 문제는 최근 가장 뜨거운 쟁점 중의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성문제를 다루지 않고서 여성의 지위를 개선하기 어렵다는 문제의식은 사회적 공감을 얻어가고 있다. 한국 사회는 성폭력 및 직장 성희롱 관련법을 제정하여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나서서 성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성문화 왜곡을 바로잡기 위한 정책적 대응은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다.

성폭력 및 성희롱을 예방하고 건전한 성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정책을 펴기 위해서는 법의 제정 등 정책적 대응도 중요하지만, 법과 정책이 뿌리를 내릴 토양인 성문제에 관한 시민의 의식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정책은 궁극적으로 시민들의 의식변화를 위한 것이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성문제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인천시민 성의식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성별 분포를 동일하게 하고 조사대상자의 연령별, 학력별, 혼인경험 유무별, 직업별, 구별 분포를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조사내용은 양성평등의식, 결혼관과 성의식, 성지식 습득경로와 피임 및 인공임신중절에 대한 태도, 성표현물에 대한 태도, 성폭력에 대한 인식, 성매매에 대한 태도로 구성되었다. 분석에서는 성별, 연령별, 때로는 학력별, 사회계층별, 지역별 비교를 실시하였고, 이러한 의식들이 양성평등의식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천 시민의 양성평등의식과 건전한 성의식 고양을 위해 필요한 정책을 제언하였다.
연구목차
연관 검색
연관 미디어

프로필

  •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

주요연구실적

연구보고서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