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개요
[연구의 방법 및 목적]
본 조사 연구는 2004년 10월 25일~2004년 10월 29일까지 5일간에 걸쳐 인천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성인 남여 122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조사는 (주)리서치알앤에이에 의뢰하여 실시하였다. 표본 집단은 성, 연령, 지역에 따른 단순무작위추출(random sampling)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조사원들이 직접 대상자를 찾아가서 설문지를 배포하고 조사 응답자 본인이 설문을 작성하고 조사원이 설문을 수거하는 1대 1 개별면접 방문조사(face-to-face interview)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조사 기관에서는 조사내용과 조사방법에 대한 면접원 교육을 통해 면접원에 의한 오차를 최소화하였고, 검증조사를 통해 허위 응답지를 가려내 해당 설문지를 무효화했다. 또한 Data Cleaning을 통해 입력 오류와 설문응답 오류를 다시 한번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하되, 동일 가구원이 조사에 포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질문지에 전화번호를 명기하도록 하여 겹치는 사례가 있는지를 색출하였다. 조사대상 1개인은 가구 상황에 관해서는 1개 가구로 취급되었고, 가치관 조사에서는 1개인으로 취급되었다. 시민을 대상으로 할 때 전연령층을 포괄함으로써 가족원들의 세대별 가족관계나 세대원 개개인의 가족문제에 관한 의식을 포괄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비용과 시간의 한계를 고려하여, 현재 및 가까운 장래의 가족 행동 변화와 관련 있는 연령층에 한정하기 위하여 18세 이상 인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18세에서 19세 연령 집단은 연애, 성관계, 결혼 등을 직접 경험하거나 그에 관한 가치관을 구체화하고 있는 시기에 있기 때문에 가까운 미래의 가족 변화를 예견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령별 분석에서는 이들을 10대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한국사회 가족 정책 및 가족 연구들의 문제의식이 가족의 불안정 또는 그 기초인 부부 관계의 불안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인천시의 경우 그 불안정이 더욱 특징적이므로 가족 불안정을 파악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조사를 설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배우 가구를 많이 포함하였고 질문에서도 부부 관계에 관한 질문을 많이 포함하였다. 이것은 핵가족의 불안정성을 파악하기 위한 조치로서, 핵가족 중심적인 전략이 아니라 오히려 핵가족의 내파를 세밀히 들여다보기 위한 전략적 접근이다.
본 조사 연구는 2004년 10월 25일~2004년 10월 29일까지 5일간에 걸쳐 인천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성인 남여 122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조사는 (주)리서치알앤에이에 의뢰하여 실시하였다. 표본 집단은 성, 연령, 지역에 따른 단순무작위추출(random sampling)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조사원들이 직접 대상자를 찾아가서 설문지를 배포하고 조사 응답자 본인이 설문을 작성하고 조사원이 설문을 수거하는 1대 1 개별면접 방문조사(face-to-face interview)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조사 기관에서는 조사내용과 조사방법에 대한 면접원 교육을 통해 면접원에 의한 오차를 최소화하였고, 검증조사를 통해 허위 응답지를 가려내 해당 설문지를 무효화했다. 또한 Data Cleaning을 통해 입력 오류와 설문응답 오류를 다시 한번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하되, 동일 가구원이 조사에 포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질문지에 전화번호를 명기하도록 하여 겹치는 사례가 있는지를 색출하였다. 조사대상 1개인은 가구 상황에 관해서는 1개 가구로 취급되었고, 가치관 조사에서는 1개인으로 취급되었다. 시민을 대상으로 할 때 전연령층을 포괄함으로써 가족원들의 세대별 가족관계나 세대원 개개인의 가족문제에 관한 의식을 포괄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비용과 시간의 한계를 고려하여, 현재 및 가까운 장래의 가족 행동 변화와 관련 있는 연령층에 한정하기 위하여 18세 이상 인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18세에서 19세 연령 집단은 연애, 성관계, 결혼 등을 직접 경험하거나 그에 관한 가치관을 구체화하고 있는 시기에 있기 때문에 가까운 미래의 가족 변화를 예견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령별 분석에서는 이들을 10대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한국사회 가족 정책 및 가족 연구들의 문제의식이 가족의 불안정 또는 그 기초인 부부 관계의 불안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인천시의 경우 그 불안정이 더욱 특징적이므로 가족 불안정을 파악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조사를 설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배우 가구를 많이 포함하였고 질문에서도 부부 관계에 관한 질문을 많이 포함하였다. 이것은 핵가족의 불안정성을 파악하기 위한 조치로서, 핵가족 중심적인 전략이 아니라 오히려 핵가족의 내파를 세밀히 들여다보기 위한 전략적 접근이다.
연구목차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