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환경안전
간선도로의 중앙 가로녹지대 확충을 통한 녹지축 조성방안 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04
- 연구기간
2004.07.01 ~ 2004.12.31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연구의 목적]
○ 회색도시에 생명의 활기를 줄 수 있는 녹지가 도시화에 따라 감소되고 분절·고립되고 있으며 회색도시를 구성하는 건물, 도로 등으로 인해 도시열섬화, 도시건조화가 심화되고 있다. 공업도시 인천의 이미지와 교통소통중심의 교통정책에서 탈피하여 푸르른 도시경관을 창출하는 도로, 생태도시의 이미지를 창출하는 도로의 건설을 위해 중앙가로녹지대 조성 방안과 이를 통해 도시녹지축이 조성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내용]
○ 문헌고찰을 통해 간선도로의 교통량, 차선폭, 서비스수준, 상시정체지점 등을 분석하여 차로수와 차선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선도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인천시 관내에 조성된 기존 10개 노선에 대한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중앙가로녹지대 조성모델을 도출하기 위해 대전시, 대구시, 청주시의 조성사례와 해외사례를 현지답사하였다.
○ 중앙가로녹지대 조성 가능 노선을 확보가능한 폭에 따라 분류하고 적용가능 조성모델을 제시하고 도면에 표현하였다.
○ 회색도시에 생명의 활기를 줄 수 있는 녹지가 도시화에 따라 감소되고 분절·고립되고 있으며 회색도시를 구성하는 건물, 도로 등으로 인해 도시열섬화, 도시건조화가 심화되고 있다. 공업도시 인천의 이미지와 교통소통중심의 교통정책에서 탈피하여 푸르른 도시경관을 창출하는 도로, 생태도시의 이미지를 창출하는 도로의 건설을 위해 중앙가로녹지대 조성 방안과 이를 통해 도시녹지축이 조성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내용]
○ 문헌고찰을 통해 간선도로의 교통량, 차선폭, 서비스수준, 상시정체지점 등을 분석하여 차로수와 차선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선도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인천시 관내에 조성된 기존 10개 노선에 대한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중앙가로녹지대 조성모델을 도출하기 위해 대전시, 대구시, 청주시의 조성사례와 해외사례를 현지답사하였다.
○ 중앙가로녹지대 조성 가능 노선을 확보가능한 폭에 따라 분류하고 적용가능 조성모델을 제시하고 도면에 표현하였다.
연구목차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