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개요
[연구목적]
인천시의 전자정부 구축이 구축 수준이나 컨텐츠 등에서 상당한 성과가 있었던 것과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시민의 온라인 참여를 얼마나 활성화시키고 있으며, 실질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지에 대한 현실 차원에서의 연구가 필요함. 따라서 온라인을 통한 시민과 인천시의 적극적 의사소통 경험이 거버넌스 구축에 이바지할 것이라는 전제 하에, 웹사이트를 통한 주민참여 유도와 전자적 주민참여 방안을 도출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 E-Governance의 개념과 주민참여에 대한 이론적 논의
- 국내외 온라인 주민 참여 사례 분석 : 국내 및 국외사례
- 인천시 전자정부 구축 현황 분석: 주민참여를 중심으로
- 전자적 주민참여 인식과 시민의식간의 관계 분석
인천시의 전자정부 구축이 구축 수준이나 컨텐츠 등에서 상당한 성과가 있었던 것과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시민의 온라인 참여를 얼마나 활성화시키고 있으며, 실질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지에 대한 현실 차원에서의 연구가 필요함. 따라서 온라인을 통한 시민과 인천시의 적극적 의사소통 경험이 거버넌스 구축에 이바지할 것이라는 전제 하에, 웹사이트를 통한 주민참여 유도와 전자적 주민참여 방안을 도출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 E-Governance의 개념과 주민참여에 대한 이론적 논의
- 국내외 온라인 주민 참여 사례 분석 : 국내 및 국외사례
- 인천시 전자정부 구축 현황 분석: 주민참여를 중심으로
- 전자적 주민참여 인식과 시민의식간의 관계 분석
연구목차
제2장 전자적 주민참여에 대한 개념과 이론
제1절 전자정부와 전자 거버넌스의 개념과 한계
1. 전자정부의 개념
2. 전자 거버넌스의 개념
3. 전자 정부와 전자 거버넌스의 한계
제2절 전자적 주민참여의 이론 검토
1. 전자적 주민참여 단계
2. 전자적 주민참여 유형
3. 전자정부에서의 주민참여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4. 전자정부에서의 주민참여와 주민참여적 전자정부
제3장 국내·외 전자적 주민참여 사례 분석
제1절 국내 사례 분석
1. 광역자치단체 사례 : 서울시
2. 기초자치단체 사례 : 서울시 강남구
3. 시사점
제2절 국외 사례 분석
1. UN의 국가별 전자정부 수준 평가
2. 대만 Taipei 시정부의 Mayor's Mail Box
3. 일본 요코하마시 스포츠 테마형 지역 SNS 모델
4. 시사점
제4장 인천시 전자정부 구축 현황 분석: 전자적 주민참여를 중심으로
제1절 인천시 전자정부 구축 현황
1. 인천광역시청 전자적 주민참여 사이트 구성과 현황
2. 각 구·군별 전자적 주민참여 사이트 구성과 현황
제2절 인천시 전자정부 추진 평가
1. 행정안전부·한국지역정보개발원 평가
2. 행정안전부·숙명여자대학교 행정기관 웹사이트 평가
3. 인천시 전자적 행정참여 수준 평가 연구
제3절 분석결과 및 함의
제5장 인천시민의 전자적 주민참여 인식 분석
제1절 연구 설계
1. 조사 목적
2. 조사 설계
제2절 분석 결과
1. 홈페이지 방문목적 및 온라인서비스 이용도
2. 전자정부 제공 서비스 평가
3. 인천시 전자정부 만족도 평가
4. 전자정부 시민참여 활성화 방안 인식
5. 대상별 및 지역별 차이 분석
제3절 정책적 시사점
제6장 전자적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제1절 인천시 전자정부 SWOT 분석과 향후 과제 도출
1. 인천시 전자정부의 강점과 약점
2. 인천시 전자정부의 기회 및 위협 요인
3. 인천시 전자정부 대응전략
제2절 전자적 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과제 도출
1. 전자적 주민참여 과제: 전자정부 시각
2. 전자적 주민참여 과제: 주민참여 시각
3. 전자정부 평가에의 대응
[부록] 전자설문지
제1절 전자정부와 전자 거버넌스의 개념과 한계
1. 전자정부의 개념
2. 전자 거버넌스의 개념
3. 전자 정부와 전자 거버넌스의 한계
제2절 전자적 주민참여의 이론 검토
1. 전자적 주민참여 단계
2. 전자적 주민참여 유형
3. 전자정부에서의 주민참여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4. 전자정부에서의 주민참여와 주민참여적 전자정부
제3장 국내·외 전자적 주민참여 사례 분석
제1절 국내 사례 분석
1. 광역자치단체 사례 : 서울시
2. 기초자치단체 사례 : 서울시 강남구
3. 시사점
제2절 국외 사례 분석
1. UN의 국가별 전자정부 수준 평가
2. 대만 Taipei 시정부의 Mayor's Mail Box
3. 일본 요코하마시 스포츠 테마형 지역 SNS 모델
4. 시사점
제4장 인천시 전자정부 구축 현황 분석: 전자적 주민참여를 중심으로
제1절 인천시 전자정부 구축 현황
1. 인천광역시청 전자적 주민참여 사이트 구성과 현황
2. 각 구·군별 전자적 주민참여 사이트 구성과 현황
제2절 인천시 전자정부 추진 평가
1. 행정안전부·한국지역정보개발원 평가
2. 행정안전부·숙명여자대학교 행정기관 웹사이트 평가
3. 인천시 전자적 행정참여 수준 평가 연구
제3절 분석결과 및 함의
제5장 인천시민의 전자적 주민참여 인식 분석
제1절 연구 설계
1. 조사 목적
2. 조사 설계
제2절 분석 결과
1. 홈페이지 방문목적 및 온라인서비스 이용도
2. 전자정부 제공 서비스 평가
3. 인천시 전자정부 만족도 평가
4. 전자정부 시민참여 활성화 방안 인식
5. 대상별 및 지역별 차이 분석
제3절 정책적 시사점
제6장 전자적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제1절 인천시 전자정부 SWOT 분석과 향후 과제 도출
1. 인천시 전자정부의 강점과 약점
2. 인천시 전자정부의 기회 및 위협 요인
3. 인천시 전자정부 대응전략
제2절 전자적 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과제 도출
1. 전자적 주민참여 과제: 전자정부 시각
2. 전자적 주민참여 과제: 주민참여 시각
3. 전자정부 평가에의 대응
[부록] 전자설문지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