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문화관광
인천지역 근대산업유산의 문화적 재활용에 관한 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09
- 연구기간
2009.07.31 ~ 2009.12.31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근대시기의 문화유산으로서 산업시설을 이해하여 보고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재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그 취지로 하고 있다.
[주요 연구내용]
본 연구에서는 근대산업유산의 개념과 가치를 살펴보고, 문화재로서의 의의를 정립하고자 한다. 기존의 근대 문화재 보존과 관련한 공공정책들은 건축사적 측면에서 특색이 있거나 보존상태가 양호한 건축물 또는 역사적,학술적 측면에서 가치가 있고 보존의 필요성이 있는 것들을 대상으로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보존, 관리하여 왔는데, 근대시기의 산업시설과 같이 그 성립시기가 비교적 짧고 가시적으로 쉽게 미관적 특성이 잘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그 문화적 역사적 가치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어려운 문제를 해소하는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시기의 문화유산으로서 산업시설을 이해하여 보고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재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그 취지로 하고 있다.
[주요 연구내용]
본 연구에서는 근대산업유산의 개념과 가치를 살펴보고, 문화재로서의 의의를 정립하고자 한다. 기존의 근대 문화재 보존과 관련한 공공정책들은 건축사적 측면에서 특색이 있거나 보존상태가 양호한 건축물 또는 역사적,학술적 측면에서 가치가 있고 보존의 필요성이 있는 것들을 대상으로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보존, 관리하여 왔는데, 근대시기의 산업시설과 같이 그 성립시기가 비교적 짧고 가시적으로 쉽게 미관적 특성이 잘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그 문화적 역사적 가치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어려운 문제를 해소하는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목차
제2장 근대산업유산의 이해 및 재활용의 의의
제1절 근대산업유산의 이해
문화정책 대상으로서 근대산업유산의 개념
근대산업유산의 가치와 재활용의 의의
제2절 관련정책동향
문화재청
문화체육관광부
서울시
제3장 사례연구
제1절 항만 · 교통 · 물류 산업유산의 재활용
군산시 내항의 사례
구)장항선 사례
제2절 제조업 공장의 예술창작공간화
‘리사이클링공장’ 사례
‘문래예술공단’ 사례
제3절 광산, 제염업 유산물의 전시 · 체험 공간화
경기도 포천 폐채석장
신안 염전과 소금창고의 보전과 문화공간화
제4장 인천지역 근대산업유산의 특성과 문화적 재활용 방향
제1절 근대문화유산의 활용과 특성
근대문화유산의 문화적 재활용 현황
특성
제2절 근대산업유산의 현황과 특성
근대산업유산의 선별 기준
근대산업유산의 유형별 현황과 특성
문화적 재활용 검토가능 유산물
제3절 근대산업유산별 재활용 방향
지역 상징적 산업유산의 재활용 방향
유형별 종합 및 특성
제5장 정책추진 방향
제1절 종합 및 시사점
제2절 정책추진 방향
보존 정책의 보강
재활용 사업 활성화
제1절 근대산업유산의 이해
문화정책 대상으로서 근대산업유산의 개념
근대산업유산의 가치와 재활용의 의의
제2절 관련정책동향
문화재청
문화체육관광부
서울시
제3장 사례연구
제1절 항만 · 교통 · 물류 산업유산의 재활용
군산시 내항의 사례
구)장항선 사례
제2절 제조업 공장의 예술창작공간화
‘리사이클링공장’ 사례
‘문래예술공단’ 사례
제3절 광산, 제염업 유산물의 전시 · 체험 공간화
경기도 포천 폐채석장
신안 염전과 소금창고의 보전과 문화공간화
제4장 인천지역 근대산업유산의 특성과 문화적 재활용 방향
제1절 근대문화유산의 활용과 특성
근대문화유산의 문화적 재활용 현황
특성
제2절 근대산업유산의 현황과 특성
근대산업유산의 선별 기준
근대산업유산의 유형별 현황과 특성
문화적 재활용 검토가능 유산물
제3절 근대산업유산별 재활용 방향
지역 상징적 산업유산의 재활용 방향
유형별 종합 및 특성
제5장 정책추진 방향
제1절 종합 및 시사점
제2절 정책추진 방향
보존 정책의 보강
재활용 사업 활성화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