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개요
[연구목적]
1. 인천의 북한이탈주민은 1,899명(2011년 11월 기준)으로 서울과 경기도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분포임. 특히 남동구는 1,200여명이 거주하고 있는데, 이는 단일 기초자치체 단위로는 최대 규모임
2. 이러한 현실에 대한 대응으로 인천시는 중앙정부 주도의 획일적인 지원에서 벗어난 지자체 차원에서의 지원을 마련하기 위해 2009년 9월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및 지원협의회 설치, 운영」 조례안을 통과하고 '북한이탈주민지원협의회'를 구성하고 있음
3. 그러나 이러한 인천시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지속적인 양적 증가와 그에 따른 다양한 구성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노정되고 있음. 이에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현실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1. 북한이탈주민의 현황 및 특성 파악
2.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지원시스템 검토
3. 계층별 북한이탈주민의 욕구 조사
4. 계층별 북한이탈주민의 지원 단체 실무자 심층면접을 통한 북한이탈주민의 간접적인 욕구 조사
5. 지자체 중심의 북한이탈주민 지원방안 마련
1. 인천의 북한이탈주민은 1,899명(2011년 11월 기준)으로 서울과 경기도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분포임. 특히 남동구는 1,200여명이 거주하고 있는데, 이는 단일 기초자치체 단위로는 최대 규모임
2. 이러한 현실에 대한 대응으로 인천시는 중앙정부 주도의 획일적인 지원에서 벗어난 지자체 차원에서의 지원을 마련하기 위해 2009년 9월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및 지원협의회 설치, 운영」 조례안을 통과하고 '북한이탈주민지원협의회'를 구성하고 있음
3. 그러나 이러한 인천시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지속적인 양적 증가와 그에 따른 다양한 구성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노정되고 있음. 이에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현실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1. 북한이탈주민의 현황 및 특성 파악
2.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지원시스템 검토
3. 계층별 북한이탈주민의 욕구 조사
4. 계층별 북한이탈주민의 지원 단체 실무자 심층면접을 통한 북한이탈주민의 간접적인 욕구 조사
5. 지자체 중심의 북한이탈주민 지원방안 마련
연구목차
II. 북한이탈주민 현황과 지원 정책
1. 북한이탈주민 현황
2. 북한이탈주민 지원 정책
III. 북한이탈주민 초기정착 및 경제활동 실태 분석
1. 분석자료 개요
2. 초기정착 및 경제활동 실태
3. 초기정착과 경제활동 실태 분석에 나타난 문제점
IV. 대상별 북한이탈주민 생활 실태 분석
1. 조사 개요
2. 대상별 생활 실태
3. 대상별 북한이탈주민 생활 실태 분석에 나타난 문제점
V. 정책적 제언
1. 정착지원을 위한 인프라 구축
2. 자립 자활을 위한 경제활동 지원 방안
3. 안정적인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지원 방안
1. 북한이탈주민 현황
2. 북한이탈주민 지원 정책
III. 북한이탈주민 초기정착 및 경제활동 실태 분석
1. 분석자료 개요
2. 초기정착 및 경제활동 실태
3. 초기정착과 경제활동 실태 분석에 나타난 문제점
IV. 대상별 북한이탈주민 생활 실태 분석
1. 조사 개요
2. 대상별 생활 실태
3. 대상별 북한이탈주민 생활 실태 분석에 나타난 문제점
V. 정책적 제언
1. 정착지원을 위한 인프라 구축
2. 자립 자활을 위한 경제활동 지원 방안
3. 안정적인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지원 방안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