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도시계획
인천 연안도서 주제가 있는 섬 추진방향-예술의 섬과 탄소제로 섬을 중심으로
- 연구자
- 발행년도
2012
- 연구기간
2012.03.01 ~ 2012.10.01
- 연구유형
정책
연구개요
[연구목적]
1. 경인아라뱃길과 연계하여 관광활성화가 가능한 덕적․자월권 도서지역에 대한 현황 및 기존 관련 계획 검토를 토대로 도서지역 진단을 위한 분석 틀을 제안하고, 적용한 후에 도서지역 기반여건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발굴 및 과제별 정책대안 제시를 목적으로 함
[주요 연구내용]
1. 인천시 연안 도서지역 현황분석 및 기존 계획 진단
2. 일본 나오시마 도서지역 사례 연구
3. 연안도서지역 기반여건 분석틀 설계
4. 부문별 종합분석 결과 및 정책과제 도출
5. 정책과제 부문별 기본구상 차원의 정책대안 제시
1. 경인아라뱃길과 연계하여 관광활성화가 가능한 덕적․자월권 도서지역에 대한 현황 및 기존 관련 계획 검토를 토대로 도서지역 진단을 위한 분석 틀을 제안하고, 적용한 후에 도서지역 기반여건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발굴 및 과제별 정책대안 제시를 목적으로 함
[주요 연구내용]
1. 인천시 연안 도서지역 현황분석 및 기존 계획 진단
2. 일본 나오시마 도서지역 사례 연구
3. 연안도서지역 기반여건 분석틀 설계
4. 부문별 종합분석 결과 및 정책과제 도출
5. 정책과제 부문별 기본구상 차원의 정책대안 제시
연구목차
Ⅱ. 인천연안 도서지역 현황 및 동향
1. 인천시 도서현황
1) 일반현황
2) 주요 자원 현황
2. 관련계획 및 정책동향
1) 2025년 인천 도시기본계획 관광부문
2) 2025년 인천 도시기본계획 시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 절약 부문
3) 제5차 인천권 관광개발계획
4) 서해5도 종합발전계획
5) 섬 개발 관련 정책동향
3. 주요 단위 개발사업 동향
1) 생태관광 등 도서특화 사업
3) 마리나 조성 사업
4. 종합분석
1) 경인아라뱃길 개통에 따른 해양도서관광 강화
2) 섬별 차별화를 위한 주제의 섬 추진
3) 생태, 에너지 등의 개념을 도서지역내 적용
Ⅲ. 소무의도 문화 예술의 섬 육성방안
1. 배경 및 필요성
1) 경인아라뱃길 개통에 따른 관광여건 변화
2) 중구 역사·관광도시와 연계
3) 중구 소무의도를 문화·예술의 섬 주제 대안 방향제시
2. 나오시마 예술의 섬 및 주변 도서 사례의 시사점
1) 나오시마 예술의 섬
2) 메기지마(女木)
3) 오기지마(男木)
4) 시사점
3. 소무의도 지역 여건
1) 일반 현황
2) 인문환경
3) 관광자원
4) 관련 사업 및 정책
5) 종합분석
4. 관광정책 추진 여건
1) 지역사회 조직의 특성
2) 이해관계자간 네트워트 구조
3) 섬 내부자원 및 지속가능한 관광 관련 실천 여건
5. 문화·예술의 섬 육성방안
1) 문화·예술의 섬 비전 설정
2) 지역사회 기반 예술의 섬 추진체계 구축
3) 주요 공간별 활용방향
6. 실행화 방안
1) 지역사회 공동커뮤니티비즈니스 육성
2) 지역사회 주도 관리체계 구축
3) 문화·예술
4) 관광노선연계 확충
5) 중앙정부 사업 연계
6) 기대효과
Ⅳ. 옹진군 탄소제로의 섬과 연계한 지역활성화 방안
1. 필요성 및 목적
2. 에너지 및 관광정책 동향
1) 저탄소 사회로의 전환
2) 녹색국토정책
3)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4) 중앙 관련부처 신재생에너지 사업추진
5) 저탄소 녹색관광자원 개발
6) 인천시 신재생에너지 전략
7) 국외 탄소제로 도시동향
8) 시사점
3. 탄소제로의 섬 사례 및 시사점
1) 탄소제로의 섬 추진배경
2) 삼소섬(Samso Island)
3) 가파도
4) 탄소제로의 섬 시사점
4. 옹진군 탄소제로의 섬 연계 지역 활성화 방안
1) 에코아일랜드 추진사업 연계
2) 관광연계 지역경제 활성화
3) 관광수요창출방안
4) 순환경제시스템 도입
Ⅴ. 결론
1. 소무의도 문화·예술의 섬 추진을 위한 실행화 방안
2. 옹진군 탄소제로의 섬과 연계한 지역활성화
1. 인천시 도서현황
1) 일반현황
2) 주요 자원 현황
2. 관련계획 및 정책동향
1) 2025년 인천 도시기본계획 관광부문
2) 2025년 인천 도시기본계획 시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 절약 부문
3) 제5차 인천권 관광개발계획
4) 서해5도 종합발전계획
5) 섬 개발 관련 정책동향
3. 주요 단위 개발사업 동향
1) 생태관광 등 도서특화 사업
3) 마리나 조성 사업
4. 종합분석
1) 경인아라뱃길 개통에 따른 해양도서관광 강화
2) 섬별 차별화를 위한 주제의 섬 추진
3) 생태, 에너지 등의 개념을 도서지역내 적용
Ⅲ. 소무의도 문화 예술의 섬 육성방안
1. 배경 및 필요성
1) 경인아라뱃길 개통에 따른 관광여건 변화
2) 중구 역사·관광도시와 연계
3) 중구 소무의도를 문화·예술의 섬 주제 대안 방향제시
2. 나오시마 예술의 섬 및 주변 도서 사례의 시사점
1) 나오시마 예술의 섬
2) 메기지마(女木)
3) 오기지마(男木)
4) 시사점
3. 소무의도 지역 여건
1) 일반 현황
2) 인문환경
3) 관광자원
4) 관련 사업 및 정책
5) 종합분석
4. 관광정책 추진 여건
1) 지역사회 조직의 특성
2) 이해관계자간 네트워트 구조
3) 섬 내부자원 및 지속가능한 관광 관련 실천 여건
5. 문화·예술의 섬 육성방안
1) 문화·예술의 섬 비전 설정
2) 지역사회 기반 예술의 섬 추진체계 구축
3) 주요 공간별 활용방향
6. 실행화 방안
1) 지역사회 공동커뮤니티비즈니스 육성
2) 지역사회 주도 관리체계 구축
3) 문화·예술
4) 관광노선연계 확충
5) 중앙정부 사업 연계
6) 기대효과
Ⅳ. 옹진군 탄소제로의 섬과 연계한 지역활성화 방안
1. 필요성 및 목적
2. 에너지 및 관광정책 동향
1) 저탄소 사회로의 전환
2) 녹색국토정책
3)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4) 중앙 관련부처 신재생에너지 사업추진
5) 저탄소 녹색관광자원 개발
6) 인천시 신재생에너지 전략
7) 국외 탄소제로 도시동향
8) 시사점
3. 탄소제로의 섬 사례 및 시사점
1) 탄소제로의 섬 추진배경
2) 삼소섬(Samso Island)
3) 가파도
4) 탄소제로의 섬 시사점
4. 옹진군 탄소제로의 섬 연계 지역 활성화 방안
1) 에코아일랜드 추진사업 연계
2) 관광연계 지역경제 활성화
3) 관광수요창출방안
4) 순환경제시스템 도입
Ⅴ. 결론
1. 소무의도 문화·예술의 섬 추진을 위한 실행화 방안
2. 옹진군 탄소제로의 섬과 연계한 지역활성화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