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환경안전
인천지역 발전시설에 의한 대기환경영향 및 관리방안
- 연구자
- 발행년도
2012
- 연구기간
2012.07.02 ~ 2012.12.28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인천지역의 10개 발전 관련 시설에 의한 대기오염 배출량은 2010년 총량관리대상 70개 업체의 배출총량 대비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의 점유비중을 기준으로 할 때 각각 83%와 87%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됨. 인천에 입지한 발전시설은 수도권 발전 용량의 62%를 차지하고 있어 국가경제기반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 배출 등 대기오염물질 배출로 인한 부정적인 기여 또한 엄청남.
○ 인천광역시는 2010년 10개 발전관련 사업장과 2014년까지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15% 감축하기로 CEO 환경협약을 체결하여 ‘Blue Sky 협의회’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음. 인천광역시는 발전사업자에게 이러한 목표를 2013년까지 1년을 앞당겨 조기달성할 경우 사업장 배출허용총량 할당시 인센티브를 지급하겠다는 유인책을 제시한 바 있으나, 발전사업자들은 방지시설 투자여건이나 일정 등을 이유로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음.
○ 오히려 2011년 9월 ‘블랙아웃(대정전사고)’ 이후, 발전시설의 시설확충과 가동율 증가를 이유로, 오히려 대기오염 배출할당량을 높여줄 것을 요구하고 있음. 영흥화력 7, 8호기 증설과 같은 시설확충이나 가동율 증가 등을 감안할 때, 인천지역 발전시설에 의한 대기환경에의 영향을 보다 엄밀하게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되었음. 본 연구를 통해, 인천지역 발전시설에 의한 대기환경영향을 대기질 모델링을 통해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적정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 인천지역 발전시설의 대기오염배출특성 및 배출량 분석
- 발전시설의 친환경적 운영관리방향 : 사례중심
- 인천지역 발전시설 현황 및 배출현황
- 인천지역 발전시설 확충 및 증설계획 검토
- 인천지역 발전시설 배출전망 및 배출시나리오 준비
○ 대기질 모델링을 통한 발전시설의 대기환경영향분석
- 대기질 모델링 시스템의 구성과 수행절차
- 인천지역 대기질 현황평가를 위한 모델링
- 인천지역 대기질 현황평가에 따른 특성 및 시사점
○ 발전시설 확충과 가동율 증가에 따른 영향평가 및 관리방안
- 미래 배출시나리오별 대기질 모델링 수행결과
- 발전시설 확충과 가동율 증가에 따른 영향평가
- 발전시설에 의한 대기환경관리방안 제안
○ 인천지역의 10개 발전 관련 시설에 의한 대기오염 배출량은 2010년 총량관리대상 70개 업체의 배출총량 대비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의 점유비중을 기준으로 할 때 각각 83%와 87%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됨. 인천에 입지한 발전시설은 수도권 발전 용량의 62%를 차지하고 있어 국가경제기반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 배출 등 대기오염물질 배출로 인한 부정적인 기여 또한 엄청남.
○ 인천광역시는 2010년 10개 발전관련 사업장과 2014년까지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15% 감축하기로 CEO 환경협약을 체결하여 ‘Blue Sky 협의회’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음. 인천광역시는 발전사업자에게 이러한 목표를 2013년까지 1년을 앞당겨 조기달성할 경우 사업장 배출허용총량 할당시 인센티브를 지급하겠다는 유인책을 제시한 바 있으나, 발전사업자들은 방지시설 투자여건이나 일정 등을 이유로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음.
○ 오히려 2011년 9월 ‘블랙아웃(대정전사고)’ 이후, 발전시설의 시설확충과 가동율 증가를 이유로, 오히려 대기오염 배출할당량을 높여줄 것을 요구하고 있음. 영흥화력 7, 8호기 증설과 같은 시설확충이나 가동율 증가 등을 감안할 때, 인천지역 발전시설에 의한 대기환경에의 영향을 보다 엄밀하게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되었음. 본 연구를 통해, 인천지역 발전시설에 의한 대기환경영향을 대기질 모델링을 통해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적정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 인천지역 발전시설의 대기오염배출특성 및 배출량 분석
- 발전시설의 친환경적 운영관리방향 : 사례중심
- 인천지역 발전시설 현황 및 배출현황
- 인천지역 발전시설 확충 및 증설계획 검토
- 인천지역 발전시설 배출전망 및 배출시나리오 준비
○ 대기질 모델링을 통한 발전시설의 대기환경영향분석
- 대기질 모델링 시스템의 구성과 수행절차
- 인천지역 대기질 현황평가를 위한 모델링
- 인천지역 대기질 현황평가에 따른 특성 및 시사점
○ 발전시설 확충과 가동율 증가에 따른 영향평가 및 관리방안
- 미래 배출시나리오별 대기질 모델링 수행결과
- 발전시설 확충과 가동율 증가에 따른 영향평가
- 발전시설에 의한 대기환경관리방안 제안
연구목차
제2장 발전시설의 대기오염 배출분석 및 친환경적 운영관리
제1절 발전시설의 대기오염 배출분석
1. 석탄화력 발전시설에서의 대기오염 배출
2. 인천지역 대기질 및 대기오염 배출현황
3. 인천지역 발전시설의 대기오염물질 배출현황
4. 인천지역 발전시설의 대기오염관리
제2절 발전시설의 친환경적 운영관리
1. 발전시설의 대기오염물질 배출규제
2. 발전시설의 유해대기오염물질 배출규제
3. 발전시설로 인한 대기오염의 피해관리
4. 시사점
제3장 인천지역 발전시설의 배출시나리오별 대기질 모델링
제1절 모델링 시스템 구축
1. 대기질 모델링을 위한 물리적 시스템
2. 모델링 체계 및 개요
제2절 대기질 모델링의 입력자료 및 측정자료 준비
1. 대기질 모델링 기간 설정
2. 대기질 모델링 도메인 설정
3. 대기질 모델링을 위한 자료준비
제3절 대기질 모델링을 위한 시나리오 설정
제4절 대기질 모델링 적용 평가
1. AERMOD 모형 수행능력 평가
2. CMAQ 모형 수행능력 평가
제4장 모델링 수행결과 분석 및 발전시설 증설에 따른 대기 관리방안
제1절 대기질 모델링 수행결과 분석
1. CMAQ 결과 분석
2. AERMOD 결과 분석
3. 발전시설의 배출시나리오별 대기질 기여농도
제3절 발전시설 증설에 따른 대기환경관리방안
1. 발전시설 증설에 관한 열린 토론과 거버넌스 확충
2. 배출규제 및 피해관리의 실효성 증진
3. 미래지향적인 대기환경정책을 위한 정책적 고려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제1절 연구결과 요약
제2절 정책제언
1. 발전시설 증설에 관한 열린 토론과 거버넌스 확충
2. 배출규제 및 피해관리의 실효성 증진
3. 미래지향적인 대기환경정책을 위한 정책적 고려
부록Ⅰ:인천지역 Blue Sky 협약 대상시선 배출현황
부록Ⅱ:O3 및 CO의 산포도 및 시계열비교
부록Ⅲ:그룹별 CMAQ 결과 및 공간분포
부록Ⅳ:미국 CARB(California Air Resources Board)
제1절 발전시설의 대기오염 배출분석
1. 석탄화력 발전시설에서의 대기오염 배출
2. 인천지역 대기질 및 대기오염 배출현황
3. 인천지역 발전시설의 대기오염물질 배출현황
4. 인천지역 발전시설의 대기오염관리
제2절 발전시설의 친환경적 운영관리
1. 발전시설의 대기오염물질 배출규제
2. 발전시설의 유해대기오염물질 배출규제
3. 발전시설로 인한 대기오염의 피해관리
4. 시사점
제3장 인천지역 발전시설의 배출시나리오별 대기질 모델링
제1절 모델링 시스템 구축
1. 대기질 모델링을 위한 물리적 시스템
2. 모델링 체계 및 개요
제2절 대기질 모델링의 입력자료 및 측정자료 준비
1. 대기질 모델링 기간 설정
2. 대기질 모델링 도메인 설정
3. 대기질 모델링을 위한 자료준비
제3절 대기질 모델링을 위한 시나리오 설정
제4절 대기질 모델링 적용 평가
1. AERMOD 모형 수행능력 평가
2. CMAQ 모형 수행능력 평가
제4장 모델링 수행결과 분석 및 발전시설 증설에 따른 대기 관리방안
제1절 대기질 모델링 수행결과 분석
1. CMAQ 결과 분석
2. AERMOD 결과 분석
3. 발전시설의 배출시나리오별 대기질 기여농도
제3절 발전시설 증설에 따른 대기환경관리방안
1. 발전시설 증설에 관한 열린 토론과 거버넌스 확충
2. 배출규제 및 피해관리의 실효성 증진
3. 미래지향적인 대기환경정책을 위한 정책적 고려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제1절 연구결과 요약
제2절 정책제언
1. 발전시설 증설에 관한 열린 토론과 거버넌스 확충
2. 배출규제 및 피해관리의 실효성 증진
3. 미래지향적인 대기환경정책을 위한 정책적 고려
부록Ⅰ:인천지역 Blue Sky 협약 대상시선 배출현황
부록Ⅱ:O3 및 CO의 산포도 및 시계열비교
부록Ⅲ:그룹별 CMAQ 결과 및 공간분포
부록Ⅳ:미국 CARB(California Air Resources Board)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