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환경안전
구도심권 노후공원의 활성화를 위한 주제공원 조성방안 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12
- 연구기간
2012.07.02 ~ 2012.12.28
- 연구유형
정책
연구개요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남동구는 신도심과 구도심 공원시설의 노후도와 활용 측면에서 많은 격차가 있기 때문에, 구도심권 주민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차별적 정책방안이 절실함.
2. 남동구에는 인천광역시 관내 10개 군․구 중 107개소의 가장 많은 공원이 조성되어 있으므로, 권역별(구도심) 공원의 특색을 살리고 공원별로 주제를 부여할 필요가 있음.
3. 본 연구에서는 남동구 관계자와 남동구 용역팀과의 협의를 거쳐, 구도심지역(구월권역, 간석권역, 만수권역, 장수서창남촌도림권역 등)의 노후공원 중 활용율이 큰 특정 노후공원을 3~4개소 선정하고,
4. 이를 대상으로 노후공원의 활성화 또는 주제공원 조성을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1. 노후공원 관련 법제도 고찰
2. 대상 노후공원의 선정 및 현지조사 시행
3. 대상 노후공원의 이용․관리상 제약요인과 문제점 도출
4. 대상 노후공원의 활성화 또는 주제공원 조성을 위한 정책방안 제시
1. 남동구는 신도심과 구도심 공원시설의 노후도와 활용 측면에서 많은 격차가 있기 때문에, 구도심권 주민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차별적 정책방안이 절실함.
2. 남동구에는 인천광역시 관내 10개 군․구 중 107개소의 가장 많은 공원이 조성되어 있으므로, 권역별(구도심) 공원의 특색을 살리고 공원별로 주제를 부여할 필요가 있음.
3. 본 연구에서는 남동구 관계자와 남동구 용역팀과의 협의를 거쳐, 구도심지역(구월권역, 간석권역, 만수권역, 장수서창남촌도림권역 등)의 노후공원 중 활용율이 큰 특정 노후공원을 3~4개소 선정하고,
4. 이를 대상으로 노후공원의 활성화 또는 주제공원 조성을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1. 노후공원 관련 법제도 고찰
2. 대상 노후공원의 선정 및 현지조사 시행
3. 대상 노후공원의 이용․관리상 제약요인과 문제점 도출
4. 대상 노후공원의 활성화 또는 주제공원 조성을 위한 정책방안 제시
연구목차
Ⅱ. 도시공원 및 주제공원 관련 법률
1. 도시공원의 종류와 공원시설
2. 주제공원과 설치시설
Ⅲ. 남동구 구도심권 근린공원 분포 및 현황분석
1. 남동구 구도심권 근린공원 분포현황
1) 조성형 근린공원 현황분석
2) 산지형 근린공원 현황분석
2. 남동구 구도심권 근린공원의 주제설정
Ⅳ. 남동구 구도심권 근린공원의 주제공원 조성방안
1. 조성형 근린공원
1) 구월근린공원
2) 담방문화공원
3) 승기근린공원
4) 염골근린공원
5) 갯골근린공원
6) 남동근린공원
7) 유수지근린공원
8) 복지근린공원
2. 산지형 근린공원
1) 만수근린공원
2) 사리울근린공원
3) 월례근린공원
4) 고잔근린공원
1. 도시공원의 종류와 공원시설
2. 주제공원과 설치시설
Ⅲ. 남동구 구도심권 근린공원 분포 및 현황분석
1. 남동구 구도심권 근린공원 분포현황
1) 조성형 근린공원 현황분석
2) 산지형 근린공원 현황분석
2. 남동구 구도심권 근린공원의 주제설정
Ⅳ. 남동구 구도심권 근린공원의 주제공원 조성방안
1. 조성형 근린공원
1) 구월근린공원
2) 담방문화공원
3) 승기근린공원
4) 염골근린공원
5) 갯골근린공원
6) 남동근린공원
7) 유수지근린공원
8) 복지근린공원
2. 산지형 근린공원
1) 만수근린공원
2) 사리울근린공원
3) 월례근린공원
4) 고잔근린공원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