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도시계획
인천광역시 친환경·저에너지 설계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13
- 연구기간
2013.01.01 ~ 2013.06.30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국가 저탄소 녹색성장 시책에 부응하고, GCF 사무국 유치와 더불어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 노력과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
○ 온실가스 저감 및 에너지 저소비 등 녹색도시 환경조성에 기여
○ 기존에 운영중인“인천광역시 친환경․저에너지 설계 가이드라인”개선
[연구의 범위]
○ 공간적 범위 : 인천시 전역 대상
○ 내용상 범위 : 친환경․저에너지 관련 건축분야
○ 국가 저탄소 녹색성장 시책에 부응하고, GCF 사무국 유치와 더불어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 노력과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
○ 온실가스 저감 및 에너지 저소비 등 녹색도시 환경조성에 기여
○ 기존에 운영중인“인천광역시 친환경․저에너지 설계 가이드라인”개선
[연구의 범위]
○ 공간적 범위 : 인천시 전역 대상
○ 내용상 범위 : 친환경․저에너지 관련 건축분야
연구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현황 및 문제점
제1절 친환경 저에너지 관련 개념 및 제도 검토
친환경 저에너지 건축물 개념
친환경 제도 검토
제2절 친환경지침 적용 현황 검토
인천시 친환경 건축정책
인천광역시 친환경 저에너지 설계 가이드라인
인천시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적용 현황
인천시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 적용 현황
제3절 친환경지침 관련 문제점
건설경기 부진에 따른 인증제도 적용 문제점
적용대상의 문제점
친환경 건축물 인증비용 지원 미흡
제3장 사례연구
제1절 사례연구 개요
제2절 친환경 및 저에너지 건축물 국내사례
에코랩(Eco-Lab) - 케미칼 사옥
서울시 신청사
e+ 그린홈 - 코오롱건설
제3절 친환경 및 저에너지 건축물 국외사례
미국 시카고 Chicago Center for Green Technology
미국 시애틀 Seattle
스웨덴 말뫼 Malmo
제4절 소결
제4장 가이드라인 개선방안
제1절 건축물 관련 환경 저에너지 정책 기본방향 제안
인천시 차원의 녹색도시 목표 설정
지역별 차등 적용
새로운 제도변화에 대응
제2절 친환경 저에너지 설계 가이드라인 개선방안
검토사항
가이드라인 개정 건의사항
제5장 경제자유구역 정책 제안
제1절 경제자유구역 친환경건축 정책 진단
경제자유구역 내 친환경 건축물 현황
경제자유구역 친환경 건축물 정책
제2절 경제자유구역 친환경건축 정책 개선방안
도시 지역 차원의 철학과 목표 설정
친환경 요소의 특화 : 선택과 집중
경제성
민간참여 확대를 위한 지원방안
IFEZ 인증제도
제6장 결론
제1절 정책건의
인천시 친환경 저에너지 건축물 정책의 성과 및 한계
인천시 정책건의
인천경제자유구역 정책건의
제2절 향후 연구과제
제2장 현황 및 문제점
제1절 친환경 저에너지 관련 개념 및 제도 검토
친환경 저에너지 건축물 개념
친환경 제도 검토
제2절 친환경지침 적용 현황 검토
인천시 친환경 건축정책
인천광역시 친환경 저에너지 설계 가이드라인
인천시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적용 현황
인천시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 적용 현황
제3절 친환경지침 관련 문제점
건설경기 부진에 따른 인증제도 적용 문제점
적용대상의 문제점
친환경 건축물 인증비용 지원 미흡
제3장 사례연구
제1절 사례연구 개요
제2절 친환경 및 저에너지 건축물 국내사례
에코랩(Eco-Lab) - 케미칼 사옥
서울시 신청사
e+ 그린홈 - 코오롱건설
제3절 친환경 및 저에너지 건축물 국외사례
미국 시카고 Chicago Center for Green Technology
미국 시애틀 Seattle
스웨덴 말뫼 Malmo
제4절 소결
제4장 가이드라인 개선방안
제1절 건축물 관련 환경 저에너지 정책 기본방향 제안
인천시 차원의 녹색도시 목표 설정
지역별 차등 적용
새로운 제도변화에 대응
제2절 친환경 저에너지 설계 가이드라인 개선방안
검토사항
가이드라인 개정 건의사항
제5장 경제자유구역 정책 제안
제1절 경제자유구역 친환경건축 정책 진단
경제자유구역 내 친환경 건축물 현황
경제자유구역 친환경 건축물 정책
제2절 경제자유구역 친환경건축 정책 개선방안
도시 지역 차원의 철학과 목표 설정
친환경 요소의 특화 : 선택과 집중
경제성
민간참여 확대를 위한 지원방안
IFEZ 인증제도
제6장 결론
제1절 정책건의
인천시 친환경 저에너지 건축물 정책의 성과 및 한계
인천시 정책건의
인천경제자유구역 정책건의
제2절 향후 연구과제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