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교통물류
원도심 상업지역의 보행환경 평가 요소에 관한 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13
- 연구기간
2013.01.01 ~ 2013.06.30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도로의 기능에는 교통기능과 공간기능이 있으나, 지금까지 인천시의 도로 정책은 도로의 교통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음.
○ 상가가 활성화되고 지역의 커뮤니티 기능이 살아나기 위해서는 도로의 공간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어야 함.
○ 이 연구는 원도심의 활성화를 위한 도로의 공간기능 확보 방안을 연구하는 것임.
[연구의 범위]
○ 공간적 범위
- 인천광역시의 원도심
○ 내용상 범위
- 도로의 기능에 대한 학습
- 원도심의 공간기능 현황 분석
- 도로의 공간기능 확보 사례 조사・분석
- 인천시의 도로 공간기능 확보 방안 제안
○ 도로의 기능에는 교통기능과 공간기능이 있으나, 지금까지 인천시의 도로 정책은 도로의 교통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음.
○ 상가가 활성화되고 지역의 커뮤니티 기능이 살아나기 위해서는 도로의 공간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어야 함.
○ 이 연구는 원도심의 활성화를 위한 도로의 공간기능 확보 방안을 연구하는 것임.
[연구의 범위]
○ 공간적 범위
- 인천광역시의 원도심
○ 내용상 범위
- 도로의 기능에 대한 학습
- 원도심의 공간기능 현황 분석
- 도로의 공간기능 확보 사례 조사・분석
- 인천시의 도로 공간기능 확보 방안 제안
연구목차
제1장 연구개요
제2장 이론과 선행연구 고찰
제1절 보행환경
제2절 상업지역 보행환경
제3절 재방문 의도
제3장 분석의 틀 설정
제1절 평가지표와 항목 설정
제2절 분석 방법의 설정
제3절 설문조사의 개요
제4장 보행자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 특성
제1절 설문 표본 특성
제2절 자료의 신뢰도와 타당성 분석
제3절 보행환경 만족도 모형
제4절 구조모형의 경로분석 결과
제5장 결론과 정책 건의
제1절 결론
제2절 정책 건의
제2장 이론과 선행연구 고찰
제1절 보행환경
제2절 상업지역 보행환경
제3절 재방문 의도
제3장 분석의 틀 설정
제1절 평가지표와 항목 설정
제2절 분석 방법의 설정
제3절 설문조사의 개요
제4장 보행자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 특성
제1절 설문 표본 특성
제2절 자료의 신뢰도와 타당성 분석
제3절 보행환경 만족도 모형
제4절 구조모형의 경로분석 결과
제5장 결론과 정책 건의
제1절 결론
제2절 정책 건의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