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개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최근 도시 내 아동 및 여성 대상 성범죄, 묻지마 범죄 등 강력 범죄가 급증하고 있음.
○ 물리적 환경과 범죄발생률에 관한 다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도로의 규모‧형태, 대지‧건물의 규모‧인동간격, 주택의 유형‧담장형태 등 지역의 공간구조와 범죄발생률 간에는 큰 상관관계가 있음. 그러므로 범죄 예방을 위해 건축 및 도시계획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 셉테드(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는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의 약자로 건축설계나 도시계획 등 공간환경에 대한 방어적 디자인을 통해 범죄기회를 줄여 주민들의 범죄발생 두려움을 감소하기 위해 고안된 범죄예방기법임.
○ 본 연구에서는 셉테드 지표들을 가상적으로 적용하여 적정성을 고찰한 후, 인천시에 적용가능한 셉테드 방식 및 제도를 고민해보고자 함.
[연구의 범위]
○ 공간적 범위: 인천광역시 관내
○ 시간적 범위: 2013년 상반기
○ 내용상 범위
- 현행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관련 지침 연구
- 범죄예방 환경설계 사례 연구
- 인천광역시 내 대상지역 선정 및 지침 시범적용
- 건축 심의를 통한 지침 적용 적정성 여부 검토 및 운영방안 마련
○ 최근 도시 내 아동 및 여성 대상 성범죄, 묻지마 범죄 등 강력 범죄가 급증하고 있음.
○ 물리적 환경과 범죄발생률에 관한 다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도로의 규모‧형태, 대지‧건물의 규모‧인동간격, 주택의 유형‧담장형태 등 지역의 공간구조와 범죄발생률 간에는 큰 상관관계가 있음. 그러므로 범죄 예방을 위해 건축 및 도시계획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 셉테드(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는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의 약자로 건축설계나 도시계획 등 공간환경에 대한 방어적 디자인을 통해 범죄기회를 줄여 주민들의 범죄발생 두려움을 감소하기 위해 고안된 범죄예방기법임.
○ 본 연구에서는 셉테드 지표들을 가상적으로 적용하여 적정성을 고찰한 후, 인천시에 적용가능한 셉테드 방식 및 제도를 고민해보고자 함.
[연구의 범위]
○ 공간적 범위: 인천광역시 관내
○ 시간적 범위: 2013년 상반기
○ 내용상 범위
- 현행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관련 지침 연구
- 범죄예방 환경설계 사례 연구
- 인천광역시 내 대상지역 선정 및 지침 시범적용
- 건축 심의를 통한 지침 적용 적정성 여부 검토 및 운영방안 마련
연구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CPTED 개념 및 국내 외 관련 연구 분석
제1절 개념 및 원리
제2절 국내 외 CPTED 가이드라인 및 인증제도
제3절 CPTED 관련 선행연구
제3장 인천시 범죄발생 현황 및 CPTED 적용사례 분석
제1절 인천시 범죄발생 현황분석
제2절 CPTED 적용사례 분석
제4장 CPTED 인천시 시범적용 계획
제1절 인천시 CPTED 적용방향
제2절 저층주거지역
제3절 아파트단지
제4절 학교
제5절 소결
제5장 결 론
제1절 정책 제언
제2절 연구의 요약 및 향후 연구과제
제2장 CPTED 개념 및 국내 외 관련 연구 분석
제1절 개념 및 원리
제2절 국내 외 CPTED 가이드라인 및 인증제도
제3절 CPTED 관련 선행연구
제3장 인천시 범죄발생 현황 및 CPTED 적용사례 분석
제1절 인천시 범죄발생 현황분석
제2절 CPTED 적용사례 분석
제4장 CPTED 인천시 시범적용 계획
제1절 인천시 CPTED 적용방향
제2절 저층주거지역
제3절 아파트단지
제4절 학교
제5절 소결
제5장 결 론
제1절 정책 제언
제2절 연구의 요약 및 향후 연구과제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