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교통물류
한중FTA체결에 따른 인천항 물동량 영향분석과 대응방안
- 연구자
- 발행년도
2015
- 연구기간
2015.01.01 ~ 2015.06.30
- 연구유형
정책
연구개요
[연구목적]
1. 한중 교역량의 증가는 곧 화물량의 확대를 의미하며, 한중FTA체결로 인해 관세율의 변화에 따른 주요 품목의 수출입화물량의 변화에 대해 영향을 살펴보고, 국제여객 및 항만물류환경에서의 정책적 대응방안 모색이 필요함
- 우리나라에서 중국 교역의 최대관문인 인천항의 물동량 증가 및 그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정책 대응 방안 마련 필요
[주요연구내용]
❍ 한중FTA 체결에 따른 산업부문별 영향 검토(기존 선행 연구포함)
- 한중 FTA 체결 현황 및 주요 산업부문별 영향 검토
- FTA 양허조건/품목별 조건 검토
❍ 기 발효된 FTA체결 국가에 대한 교역관련 각종 통계수치 및 영향분석
- FTA체결 전후의 국가간 교역량 변화(주요 국가 위주로 분석)
- FTA체결 이후의 항만물동량 변화 및 영향 검토
❍ 한중FTA 체결영향에 대한 항만분야 물동량 분석 및 항로개방에 미치는 영향
- 품목별 교역관계 분석 → 항만물동량 영향관계
- 항만 및 항로 개방과 관련한 영향 검토
❍ 인천항의 대응 방안 검토
- 인천항 물동량 확대에 대한 대응
- 국제여객 및 물류서비스 부문 대응
- FTA를 활용한 비즈니스모델 구축(항만배후단지 활용 포함)
1. 한중 교역량의 증가는 곧 화물량의 확대를 의미하며, 한중FTA체결로 인해 관세율의 변화에 따른 주요 품목의 수출입화물량의 변화에 대해 영향을 살펴보고, 국제여객 및 항만물류환경에서의 정책적 대응방안 모색이 필요함
- 우리나라에서 중국 교역의 최대관문인 인천항의 물동량 증가 및 그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정책 대응 방안 마련 필요
[주요연구내용]
❍ 한중FTA 체결에 따른 산업부문별 영향 검토(기존 선행 연구포함)
- 한중 FTA 체결 현황 및 주요 산업부문별 영향 검토
- FTA 양허조건/품목별 조건 검토
❍ 기 발효된 FTA체결 국가에 대한 교역관련 각종 통계수치 및 영향분석
- FTA체결 전후의 국가간 교역량 변화(주요 국가 위주로 분석)
- FTA체결 이후의 항만물동량 변화 및 영향 검토
❍ 한중FTA 체결영향에 대한 항만분야 물동량 분석 및 항로개방에 미치는 영향
- 품목별 교역관계 분석 → 항만물동량 영향관계
- 항만 및 항로 개방과 관련한 영향 검토
❍ 인천항의 대응 방안 검토
- 인천항 물동량 확대에 대한 대응
- 국제여객 및 물류서비스 부문 대응
- FTA를 활용한 비즈니스모델 구축(항만배후단지 활용 포함)
연구목차
Ⅱ. FTA 체결 현황 및 효과 검토
1. FTA 체결 현황
2. FTA 체결 경제효과
Ⅲ. FTA 체결에 따른 항만물동량 영향 분석
1. FTA체결 국가간 교역관계 분석
2. FTA체결에 따른 항만물동량 영향
3. FTA체결에 따른 인천항 영향
Ⅳ. 한중 FTA 체결에 따른 인천항 영향
1. 한중 무역 및 FTA 체결 현황
2. 인천항 물동량 전망
3. 인천 산업 및 배후단지를 활용한 대응
1. FTA 체결 현황
2. FTA 체결 경제효과
Ⅲ. FTA 체결에 따른 항만물동량 영향 분석
1. FTA체결 국가간 교역관계 분석
2. FTA체결에 따른 항만물동량 영향
3. FTA체결에 따른 인천항 영향
Ⅳ. 한중 FTA 체결에 따른 인천항 영향
1. 한중 무역 및 FTA 체결 현황
2. 인천항 물동량 전망
3. 인천 산업 및 배후단지를 활용한 대응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