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행재정
교육균형발전지수 비교를 통한 인천광역시 지역간 교육격차 실태 분석
- 연구자
- 발행년도
2015
- 연구기간
2015.01.01 ~ 2015.10.30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그 동안 우리나라에서는 교육이 가장 공정한 계층이동의 통로로 인식되어 왔지만, IMF 외환 위기 이후 경제적 격차가 심화되면서 이로 인해 개인적 교육격차가 심화되고 있으며, 또한 지역간 개발정책에 따라 계층별로 주거지역이 특정화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지역간 교육격차도 더욱 심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2. 지방자치단체의 입장에서 지역간 교육격차는 사회통합에 위협이 될 뿐 아니라 지역의 균형적 발전을 저해하게 되고 지역의 성장잠재력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해결해야 할 심각한 과제가 되고 있음. 따라서 지역간 균형적 개발과 더불어 지역간 교육의 균형적 발전 또한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음.
3. 인천광역시의 경우 최근 송도, 청라 등의 신도심의 개발로 이들 지역에 원도심의 학교들이 이전하고 각종 우수한 교육인프라가 이들 신도심에 집중되면서 지역간 교육격차가 심화되고 있는 처지임.
4. 이에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의 기초자치단체별 초, 중, 고의 교육격차 실태를 교육투입단계, 교육과정단계, 교육결과단계로 구분하여 이에 해당하는 활용가능한 객관적 자료를 통해 지수화 하여 실증적으로 드러내고, 각 지표의 지수비교를 통해 지역간 교육격차의 실태를 면밀히 진단하고자 함.
1. 그 동안 우리나라에서는 교육이 가장 공정한 계층이동의 통로로 인식되어 왔지만, IMF 외환 위기 이후 경제적 격차가 심화되면서 이로 인해 개인적 교육격차가 심화되고 있으며, 또한 지역간 개발정책에 따라 계층별로 주거지역이 특정화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지역간 교육격차도 더욱 심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2. 지방자치단체의 입장에서 지역간 교육격차는 사회통합에 위협이 될 뿐 아니라 지역의 균형적 발전을 저해하게 되고 지역의 성장잠재력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해결해야 할 심각한 과제가 되고 있음. 따라서 지역간 균형적 개발과 더불어 지역간 교육의 균형적 발전 또한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음.
3. 인천광역시의 경우 최근 송도, 청라 등의 신도심의 개발로 이들 지역에 원도심의 학교들이 이전하고 각종 우수한 교육인프라가 이들 신도심에 집중되면서 지역간 교육격차가 심화되고 있는 처지임.
4. 이에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의 기초자치단체별 초, 중, 고의 교육격차 실태를 교육투입단계, 교육과정단계, 교육결과단계로 구분하여 이에 해당하는 활용가능한 객관적 자료를 통해 지수화 하여 실증적으로 드러내고, 각 지표의 지수비교를 통해 지역간 교육격차의 실태를 면밀히 진단하고자 함.
연구목차
제2장 교육격차 요인 및 교육균형발전지수
제1절 교육격차 개념 및 관련 요인
1. 교육격차 개념
2. 교육격차 관련 요인
제2절 교육균형발전지수의 의미와 산출방식
1. 교육균형발전지수의 의미
2. 교육균형발전지수 산출방식
제3장 인천광역시 지역간 교육격차 실태
제1절 교육균형발전 지표 선정
1. 교육균형발전 지표 항목
2. 교육균형발전 지표 선정
3. 교육균형발전지수 지표(안)
제2절 교육균형발전지수 비교에 의한 지역간 교육격차 실태
1. 사회ㆍ경제적 배경
2. 교육의 투입 영역
3. 교육의 과정 영역
4. 교육의 결과 영역
5. 교육균형발전지수 종합
제4장 요약 및 제언
제1절 요약 및 논의
1. 영역별 교육격차
2. 학교급별 교육격차
3. 지역별 교육격차
제2절 정책 제언과 연구 한계
1. 교육격차 감소를 위한 정책 제언
2. 지수 연구의 한계
제1절 교육격차 개념 및 관련 요인
1. 교육격차 개념
2. 교육격차 관련 요인
제2절 교육균형발전지수의 의미와 산출방식
1. 교육균형발전지수의 의미
2. 교육균형발전지수 산출방식
제3장 인천광역시 지역간 교육격차 실태
제1절 교육균형발전 지표 선정
1. 교육균형발전 지표 항목
2. 교육균형발전 지표 선정
3. 교육균형발전지수 지표(안)
제2절 교육균형발전지수 비교에 의한 지역간 교육격차 실태
1. 사회ㆍ경제적 배경
2. 교육의 투입 영역
3. 교육의 과정 영역
4. 교육의 결과 영역
5. 교육균형발전지수 종합
제4장 요약 및 제언
제1절 요약 및 논의
1. 영역별 교육격차
2. 학교급별 교육격차
3. 지역별 교육격차
제2절 정책 제언과 연구 한계
1. 교육격차 감소를 위한 정책 제언
2. 지수 연구의 한계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