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교통물류
석남역 개통에 따른 환승연계 방안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15
- 연구기간
2015.01.01 ~ 2015.10.30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016년 인천도시철도 2호선, 2018년 서울지하철 7호선이 석남역(가칭)까지 연장되어 환승역으로 운영되면, 청라지역 및 중구, 동구지역의 광역통행수요 및 시내통행에 의한 환승수요가 석남역으로 집중할 것으로 예상됨.
2. 석남역 인근은 도심재생사업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개발이 진척된 후 철도역사가 건설되는 것이 연결동선계획상으로는 바람직하지만, 경제상황 등이 여의치 않아 주변 개발이 지지부진함.
3. 석남역은 경인고속도로 측도상에 위치하여 지금 같이 주변지역이 정비되지 않은 상황이라면 환승을 위한 접근수단의 진입이 거의 불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버스 등에 의한 환승시 수직이나 최소수평거리로 연결이 용이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됨.
4. 이에 따라 버스와 철도간 환승시 환승거리가 길어져 이용객들의 불편이 예상됨에 따라 장기적으로 대중교통 수요 증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이에 따라 향후 예상되는 환승수요 및 접근환승수단들을 소화할 수 있는 환승관련 시설입지가 중요하며, 이에 따른 연계방안도 필요함.
5. 따라서 철도간 환승 뿐만 아니라 버스에 의한 환승시 이루어지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접근 수단 회차 공간 등 물리적 시설뿐만 아니라 환승시 이루어지는 보행관련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함.
1. 2016년 인천도시철도 2호선, 2018년 서울지하철 7호선이 석남역(가칭)까지 연장되어 환승역으로 운영되면, 청라지역 및 중구, 동구지역의 광역통행수요 및 시내통행에 의한 환승수요가 석남역으로 집중할 것으로 예상됨.
2. 석남역 인근은 도심재생사업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개발이 진척된 후 철도역사가 건설되는 것이 연결동선계획상으로는 바람직하지만, 경제상황 등이 여의치 않아 주변 개발이 지지부진함.
3. 석남역은 경인고속도로 측도상에 위치하여 지금 같이 주변지역이 정비되지 않은 상황이라면 환승을 위한 접근수단의 진입이 거의 불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버스 등에 의한 환승시 수직이나 최소수평거리로 연결이 용이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됨.
4. 이에 따라 버스와 철도간 환승시 환승거리가 길어져 이용객들의 불편이 예상됨에 따라 장기적으로 대중교통 수요 증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이에 따라 향후 예상되는 환승수요 및 접근환승수단들을 소화할 수 있는 환승관련 시설입지가 중요하며, 이에 따른 연계방안도 필요함.
5. 따라서 철도간 환승 뿐만 아니라 버스에 의한 환승시 이루어지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접근 수단 회차 공간 등 물리적 시설뿐만 아니라 환승시 이루어지는 보행관련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함.
연구목차
제2장 기존 문헌 고찰
제1절 공간 구문론
1. 개념
2. 용어 정의
3. 공간구문론 활용분야
4. 관련 연구
제2절 보행관련 네트워크 모형
1. 보행관련 모형 비교
2. 관련 연구
제3절 시사점
제3장 자료 및 모형 구축
제1절 자료 구축 및 평가지표
1. 자료 구축
2. 평가지표선정
제2절 모형 구축
1. 보행네트워크 구축 및 모형
2. 공간구문론 자료 및 이용모형
제3절 소결
제4장 석남역 환승환경 분석
제1절 현황 및 대안설정
1. 현황
2. 대안설정
제2절 환승환경 분석
1. 공간구문론 분석
2. 보행네트워크 모형을 이용한 환승환경 분석
제1절 공간 구문론
1. 개념
2. 용어 정의
3. 공간구문론 활용분야
4. 관련 연구
제2절 보행관련 네트워크 모형
1. 보행관련 모형 비교
2. 관련 연구
제3절 시사점
제3장 자료 및 모형 구축
제1절 자료 구축 및 평가지표
1. 자료 구축
2. 평가지표선정
제2절 모형 구축
1. 보행네트워크 구축 및 모형
2. 공간구문론 자료 및 이용모형
제3절 소결
제4장 석남역 환승환경 분석
제1절 현황 및 대안설정
1. 현황
2. 대안설정
제2절 환승환경 분석
1. 공간구문론 분석
2. 보행네트워크 모형을 이용한 환승환경 분석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