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환경안전
탐조관광 및 탐조체험활동 활성화 방안
- 연구자
- 발행년도
2015
- 연구기간
2015.02.02 ~ 2015.07.31
- 연구유형
기획
연구개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인천은 동아시아- 대양주(호주) 철새 이동경로 상의 중앙에 위치함.
❍ 호주를 포함한 남반구와 홍콩, 대만 등 동남아시아의 이동성 철새들이 한반도의 중심에 위치한 인천을 중간기착지로 하여 휴식과 먹이를 섭취하고 북쪽인 만주나 시베리아지역으로 이동함.
❍ 이러한 중요성에 의해 국제기구인 철새사무국(EAAFP)이 송도국제도시에 사무실을 개설하게 됨.
❍ 세계적인 멸종위기종인 저어새는 전세계에서 2,726마리가 확인되었음. 이중 80%가 한반도, 특히 인천 17개 섬에서 번식이 확인되었음. 저어새는 겨울철에 홍콩과 대만, 중국 남부지역 등에서 월동하고 봄철인 4월말에서 5월초에 인천지역 섬 등에 번식지를 마련함.
❍ 홍콩시는 2015년 1월에 인천시와 서식지 자매결연을 맺기로 구두 약속하였으며 2015년 2월 초에 인천시장이 구두 확인하였으며, 조만간 양 도시간의 양해각서(MOU)를 맺기로 약속하였음.
❍ 홍콩시와 서식지 자매결연을 맺는 것을 계기로 인천시에서는 인천시를 찾아오는 철새와 서식지를 종합관리하고 이를 활용한 생태관광 기본구상안을 마련하고자 함.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천관내에서 조사된 각종의 자료를 취합하고,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하며, 탐조관광의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답사하여 인천광역시 탐조관광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함.
❍ 인천은 동아시아- 대양주(호주) 철새 이동경로 상의 중앙에 위치함.
❍ 호주를 포함한 남반구와 홍콩, 대만 등 동남아시아의 이동성 철새들이 한반도의 중심에 위치한 인천을 중간기착지로 하여 휴식과 먹이를 섭취하고 북쪽인 만주나 시베리아지역으로 이동함.
❍ 이러한 중요성에 의해 국제기구인 철새사무국(EAAFP)이 송도국제도시에 사무실을 개설하게 됨.
❍ 세계적인 멸종위기종인 저어새는 전세계에서 2,726마리가 확인되었음. 이중 80%가 한반도, 특히 인천 17개 섬에서 번식이 확인되었음. 저어새는 겨울철에 홍콩과 대만, 중국 남부지역 등에서 월동하고 봄철인 4월말에서 5월초에 인천지역 섬 등에 번식지를 마련함.
❍ 홍콩시는 2015년 1월에 인천시와 서식지 자매결연을 맺기로 구두 약속하였으며 2015년 2월 초에 인천시장이 구두 확인하였으며, 조만간 양 도시간의 양해각서(MOU)를 맺기로 약속하였음.
❍ 홍콩시와 서식지 자매결연을 맺는 것을 계기로 인천시에서는 인천시를 찾아오는 철새와 서식지를 종합관리하고 이를 활용한 생태관광 기본구상안을 마련하고자 함.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천관내에서 조사된 각종의 자료를 취합하고,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하며, 탐조관광의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답사하여 인천광역시 탐조관광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함.
연구목차
연관 검색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