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교통물류
수도권 통합대중교통 분석체계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15
- 연구기간
2015.02.02 ~ 2015.12.31
- 연구유형
기획
연구개요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왜 수도권 통합대중교통 정책분석체계의 구축이 필요한가?
○ 수도권은 서울, 경기, 인천 3개 지자체 및 중앙정부 소속의 버스-철도로 구성된 방대한 규모의 대중교통수단이 운영되나, 대중교통 수요와 네트워크 상황을 적절히(실시간적으로) 파악하면서 교통정책을 평가할 기본모형이 존재하지 않음.
○ 수도권은 일일 약 2,000만건의 교통카드자료가 실시간 dB화되고 있으나, 현재 통용되는 모형은 수도권 대중교통의 진화된 특성을 반영하고 있지 못함.
○ 기존 대중교통카드를 활용한 연구는 가구통행실태조사를 보완하고 검증하는 차원에 머물러 있음.
○ 버스입석제한, 대중교통 환승수요분석, 버스 및 철도 연계 분석, 혼잡에 따른 노선증차 등 다양한 요구변화는 미시적이고 세밀한 진단과 시뮬레이션을 통한 대안제시가 필요함.
○ 분석체계 구축 후 공무원, 전문가, 시민 등 다양한 계층에서 요구하는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효과 지표를 제시할 수 있음. 또한, 실시간 빅데이터 기반 틀을 완성하여 정책시행이전에 효과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게 될 것임.
○ 따라서 수도권 통합대중교통 분석체계 구축 목적은 버스-철도로 구성된 대중교통Network를 이용하여 교통정책관련 다양한 요구 및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것임.
2. 수도권 통합대중교통 분석체계 완성을 위해서
1) 교통카드자료로 통합대중교통 수요를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2) 철도 및 버스 Network를 통합한 대중교통Network를 구축하고,
3) 분석요구에 부응하는 모듈과 통합대중교통Network를 결합한 분석체계 구축 필요.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교통환경(신규노선 및 변경 등)과 분석요구수준에 맞는 대응방안을 모색하기위해 연차별, 단계별 지속과제로 유지할 필요가 있음.방대한 수도권 통합대중교통Network와 연계분석체계를 가동하기 위해서는 Network, GIS, Computer Science 등 다양한 분야의 통합 연구가 요구되므로 서울, 경기, 인천 연구원과 학계의 공동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음.
1. 왜 수도권 통합대중교통 정책분석체계의 구축이 필요한가?
○ 수도권은 서울, 경기, 인천 3개 지자체 및 중앙정부 소속의 버스-철도로 구성된 방대한 규모의 대중교통수단이 운영되나, 대중교통 수요와 네트워크 상황을 적절히(실시간적으로) 파악하면서 교통정책을 평가할 기본모형이 존재하지 않음.
○ 수도권은 일일 약 2,000만건의 교통카드자료가 실시간 dB화되고 있으나, 현재 통용되는 모형은 수도권 대중교통의 진화된 특성을 반영하고 있지 못함.
○ 기존 대중교통카드를 활용한 연구는 가구통행실태조사를 보완하고 검증하는 차원에 머물러 있음.
○ 버스입석제한, 대중교통 환승수요분석, 버스 및 철도 연계 분석, 혼잡에 따른 노선증차 등 다양한 요구변화는 미시적이고 세밀한 진단과 시뮬레이션을 통한 대안제시가 필요함.
○ 분석체계 구축 후 공무원, 전문가, 시민 등 다양한 계층에서 요구하는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효과 지표를 제시할 수 있음. 또한, 실시간 빅데이터 기반 틀을 완성하여 정책시행이전에 효과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게 될 것임.
○ 따라서 수도권 통합대중교통 분석체계 구축 목적은 버스-철도로 구성된 대중교통Network를 이용하여 교통정책관련 다양한 요구 및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것임.
2. 수도권 통합대중교통 분석체계 완성을 위해서
1) 교통카드자료로 통합대중교통 수요를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2) 철도 및 버스 Network를 통합한 대중교통Network를 구축하고,
3) 분석요구에 부응하는 모듈과 통합대중교통Network를 결합한 분석체계 구축 필요.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교통환경(신규노선 및 변경 등)과 분석요구수준에 맞는 대응방안을 모색하기위해 연차별, 단계별 지속과제로 유지할 필요가 있음.방대한 수도권 통합대중교통Network와 연계분석체계를 가동하기 위해서는 Network, GIS, Computer Science 등 다양한 분야의 통합 연구가 요구되므로 서울, 경기, 인천 연구원과 학계의 공동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음.
연구목차
Ⅱ. 대중교통수입금 및 요금 배분 관련 이슈
1. 한국스마트카드(KSCC), EB카드의 투명성과 검증
2. 철도운영기관간 연락운임정산 문제
3. 지자체 및 운영기관 환승손실보전금 논란
4. 민자운송기관 진입 및 통합요금체계 지자체 확대
Ⅲ. 대중교통카드자료 관련 이슈
1. 교통카드자료 획득을 위한 지자체 및 운영기관 협조
2. 교통카드자료를 활용한 분석 요구 증가
3. 교통카드자료의 표준화 요구
4. 대중교통 통합모형 및 통합네트워크 관리조직 부재
Ⅳ. 수도권 통합대중교통체계 관리·분석 조직 필요
1. 변화하는 환경에 대처하고 통합 정책 구현이 가능한 조직 필요
2. 운영기관, 지자체간 문제 해결 및 정책대안 제시 역할
3. 수도권교통본부와 지자체 연구기관 통합관리센터로 구성된 조직이 가장 적합
1. 한국스마트카드(KSCC), EB카드의 투명성과 검증
2. 철도운영기관간 연락운임정산 문제
3. 지자체 및 운영기관 환승손실보전금 논란
4. 민자운송기관 진입 및 통합요금체계 지자체 확대
Ⅲ. 대중교통카드자료 관련 이슈
1. 교통카드자료 획득을 위한 지자체 및 운영기관 협조
2. 교통카드자료를 활용한 분석 요구 증가
3. 교통카드자료의 표준화 요구
4. 대중교통 통합모형 및 통합네트워크 관리조직 부재
Ⅳ. 수도권 통합대중교통체계 관리·분석 조직 필요
1. 변화하는 환경에 대처하고 통합 정책 구현이 가능한 조직 필요
2. 운영기관, 지자체간 문제 해결 및 정책대안 제시 역할
3. 수도권교통본부와 지자체 연구기관 통합관리센터로 구성된 조직이 가장 적합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