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동북아국제
중국 권역 거점도시 지역발전 조사
- 연구자
- 발행년도
2017
- 연구기간
2017.01.04 ~ 2017.11.13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 연구 배경과 목적
○ 중국은 연해 대도시를 위주로 한 불균형 지역발전 전략을 수정, 권역별 거점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지역발전전략을 전개하고 있음
○ 이에 따라 연해지역에 새로운 발전도시 및 도시연계망이 부상하고 내륙지역에 성장거점 대도시가 나타나고 있음
○ 가속화되고 있는 중국 전역의 경제·사회적 공간구조 재편에 대한 인천의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함
○ 인천의 대(對)중국 교류·비즈니스를 위한 토대정보를 구축하기 위해, 중국 권역 거점도시 경제역량과 발전잠재력 측정방법을 설계하고 이를 적용하여 각 도시들의 지역발전 수준을 파악하고자 함
■ 연구범위
○ 조사대상 거점도시는 ①베이징, 상하이, 선전, 충칭의 4대 직할시 ②각 성의 인민정부 소재지인 성도 그리고 ③부성급시(副省级市) ④국가급정책시범지 등 총 39곳임
○ 연구에서는 중국 전역을 3개 지대, 7개 권역으로 구분함
- 중국 전역의 31개 지역을 환발해지대, 동남부 연해지대, 중서부 내륙의 3개 지대로 크게 분류하고, 이를 다시 화북, 동북, 화동, 화남, 화중, 서 남부, 서북부의 7개 권역으로 나눔
○ 중국은 연해 대도시를 위주로 한 불균형 지역발전 전략을 수정, 권역별 거점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지역발전전략을 전개하고 있음
○ 이에 따라 연해지역에 새로운 발전도시 및 도시연계망이 부상하고 내륙지역에 성장거점 대도시가 나타나고 있음
○ 가속화되고 있는 중국 전역의 경제·사회적 공간구조 재편에 대한 인천의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함
○ 인천의 대(對)중국 교류·비즈니스를 위한 토대정보를 구축하기 위해, 중국 권역 거점도시 경제역량과 발전잠재력 측정방법을 설계하고 이를 적용하여 각 도시들의 지역발전 수준을 파악하고자 함
■ 연구범위
○ 조사대상 거점도시는 ①베이징, 상하이, 선전, 충칭의 4대 직할시 ②각 성의 인민정부 소재지인 성도 그리고 ③부성급시(副省级市) ④국가급정책시범지 등 총 39곳임
○ 연구에서는 중국 전역을 3개 지대, 7개 권역으로 구분함
- 중국 전역의 31개 지역을 환발해지대, 동남부 연해지대, 중서부 내륙의 3개 지대로 크게 분류하고, 이를 다시 화북, 동북, 화동, 화남, 화중, 서 남부, 서북부의 7개 권역으로 나눔
연구목차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