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개요
■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2008년 경기도에서 제안한 GTX A, B, C 노선이 2011년 「제2차 국가 철도망 계획」에 포함되어 2년 넘게 타당성 연구가 진행됨.
- 2014년 국토교통부의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B/C값이 A노선·B노선·C노선 동시 추진시 0.84(A노선 1.33, B노선 0.33, C노 선 0.66)로 검토됨.
- 국토교통부는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된 3개 노선을 모두 추진해 나가되, 경제적 타당성이 확보된 A노선(일산~삼성)은 즉시 추진하고 B노선(송도~청량리)과 C노선(의정부~금정)은 재기획 및 보완 과정을 거쳐 조속히 재추진키로 함.
- 일반적으로 B/C를 높이기 위해서는 수요(편익)는 늘리고 공사비(비용)는 줄여야 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GTX B 노선변경에 의한 수요증대 방안 및 비용절 감 방안을 연구함.
- 2016년 교통카드 및 KTDB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천-청량리로 되어있는 기존 GTX B노선의 교통수요보다 인천-잠실로 노선을 변경하면 교통수요가 증가 함을 증명함.
- 인천 내부 노선은 인천시청역경유와 주안역경유 노선을 대안으로 설정하여 경제성을 분석함.
- 2008년 경기도에서 제안한 GTX A, B, C 노선이 2011년 「제2차 국가 철도망 계획」에 포함되어 2년 넘게 타당성 연구가 진행됨.
- 2014년 국토교통부의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B/C값이 A노선·B노선·C노선 동시 추진시 0.84(A노선 1.33, B노선 0.33, C노 선 0.66)로 검토됨.
- 국토교통부는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된 3개 노선을 모두 추진해 나가되, 경제적 타당성이 확보된 A노선(일산~삼성)은 즉시 추진하고 B노선(송도~청량리)과 C노선(의정부~금정)은 재기획 및 보완 과정을 거쳐 조속히 재추진키로 함.
- 일반적으로 B/C를 높이기 위해서는 수요(편익)는 늘리고 공사비(비용)는 줄여야 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GTX B 노선변경에 의한 수요증대 방안 및 비용절 감 방안을 연구함.
- 2016년 교통카드 및 KTDB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천-청량리로 되어있는 기존 GTX B노선의 교통수요보다 인천-잠실로 노선을 변경하면 교통수요가 증가 함을 증명함.
- 인천 내부 노선은 인천시청역경유와 주안역경유 노선을 대안으로 설정하여 경제성을 분석함.
연구목차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