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2018-표지-전기버스.jpg

교통물류

인천광역시 전기버스 운행체계 기초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18

  • 연구기간

    2018.02.01 ~ 2018.10.31

  • 연구유형

    기획

연구개요
○ 전기자동차 보급확대는 미세먼지 저감 및 온실가스 감축 등 시민 생활환경뿐만 아니라 내연기관 자동차의 연관산업, 전기차 기반 교통물류 모빌리티(mobility) 서비스 산업 및 에너지 신산업 창출 등 다양한 산업경제 분야에도 유무형의 영향이 예상됨

- 주행거리가 길고,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내연기관(경유 및 CNG) 버스를 전기버스로 교체할 경우 온실가스 배출 저감, 재생에너지 보급확대 정책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
- 전기버스 차량과 관련된 배터리산업, 충전 인프라 산업, 충전서비스 산업 등의 새로운 연관산업이 발전하고, 전기버스 관련 기술개선과 차량 가격경쟁력 향상으로 시내버스운송사업의 연료비용과 유지비용이 떨어져 인천시내버스 준공영제 예산 절감이 기대됨

○ 정부는「2030 에너지 신산업 확산전략」을 통해 2030년까지 시내버스를 전기버스로 전환한다는 목표를 제시하였음. 인천광역시는 2016년 8월 인천광역시 전기자동차 보급 활성화 추진계획을 수립하였고, 시내버스노선에 전기버스 10대 시범 운영을 위해 2018년 4월 전기버스 제작사를 선정하였음

○ 이 연구는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부문에서 전기버스 사업의 기술성, 경제성, 환경성 등을 파악하여 정책결정자의 전기버스 사업 불확실성을 줄이는 데 연구목적이 있음

- 인천광역시는 2022년까지 친환경 전기버스 도입계획은 수립되어 있으나, 전기버스 운행과 관련된 차량 및 전지팩 개발기술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분석이 진행된 바 없고, 관련 정책부서의 전기버스 운행체계 배터리, 충전 인프라, 전력여건 등 기술검토 기초 자료와 실제 운행노선의 전기버스 도입 가능 대수 분석 등 버스운행여건 도입 타당성 검토는 사전 연구된 바 없음
- 또한 전기버스 운행과 관련된 차량, 전지팩(배터리), 충전기 등에 대한 기술표준, 전기버스 차량 보급 및 충전소 설치 재정지원 확대방안 등이 명확한 기준이 검토된 바 없음
- 이 연구는 전기에너지를 100%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순수 전기버스를 기술범위로 하며, 수소연료를 이용한 연료전지 전기버스는 연구에서 제외하며, 각각의 에너지 동력원에 대한 비교분석은 연구 범위에서 제외함
연구목차
연관 검색
연관 미디어

프로필

  •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

주요연구실적

연구보고서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