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환경안전
인천광역시의 기후변화 취약성 DB 구축 및 지도작성
- 연구자
- 발행년도
2019
- 연구기간
2019.01.01 ~ 2019.06.30
- 연구유형
센터기획
연구개요
■ 연구개요
❍ 기초지자체 단위에서 자체적으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 영향 예측 및 취약성 평가 등을 수행하기 위한 비용 및 시간, 높은 전문성이 요구되는 한계가 있음
❍ 인천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을 위하여 지역 특성반영과 읍·면·동 단위의 취약성 평가가 필요함 그리고 인천광역시의 기후변화 취약성을 지자체 차원의 기후노출, 민감도, 적응능력 등 자료를 검토하고, 읍·면·동 단위로 취약성 지수를 나타내 지도 및 DB 구축 작업이 필수적임
❍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 적응대책 수립 시 의사결정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되는 기후변화 취약성 지수를 인천광역시의 읍·면·동 단위로 살펴보고, 각 세부항목의 취약성을 합쳐 인천광역시의 전반적인 기후변화 취약성 현황을 보여줌으로써 인천광역시와 군·구의 기후변화 취약성평가와 적응대책 수립을 지원하기 위한 것임
❍ 인천광역시의 지역 특성을 반영하고자 지역 전문가 및 시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취약성 평가에 반영하고 취약성 지수 및 지도를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지역의 특징에 따른 차별화된 접근이 가능하기때문에 취약한 지역의 특성을 분석하여 후속적인 평가 및 대책 마련에 활용할 수 있음
❍ 기초지자체 단위에서 자체적으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 영향 예측 및 취약성 평가 등을 수행하기 위한 비용 및 시간, 높은 전문성이 요구되는 한계가 있음
❍ 인천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을 위하여 지역 특성반영과 읍·면·동 단위의 취약성 평가가 필요함 그리고 인천광역시의 기후변화 취약성을 지자체 차원의 기후노출, 민감도, 적응능력 등 자료를 검토하고, 읍·면·동 단위로 취약성 지수를 나타내 지도 및 DB 구축 작업이 필수적임
❍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 적응대책 수립 시 의사결정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되는 기후변화 취약성 지수를 인천광역시의 읍·면·동 단위로 살펴보고, 각 세부항목의 취약성을 합쳐 인천광역시의 전반적인 기후변화 취약성 현황을 보여줌으로써 인천광역시와 군·구의 기후변화 취약성평가와 적응대책 수립을 지원하기 위한 것임
❍ 인천광역시의 지역 특성을 반영하고자 지역 전문가 및 시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취약성 평가에 반영하고 취약성 지수 및 지도를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지역의 특징에 따른 차별화된 접근이 가능하기때문에 취약한 지역의 특성을 분석하여 후속적인 평가 및 대책 마련에 활용할 수 있음
연구목차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