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도시계획
인천시 도시재생사업 모니터링 추진방안
- 연구자
- 발행년도
2019
- 연구기간
2019.01.31 ~ 2019.12.31
- 연구유형
기획
연구개요
■ 연구개요
❍ 인천시는 중앙정부 주도의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함께 인천광역시 자체 도시재 생사업인 더불어 마을사업을 추진하면서, 인천시 도시재생사업 구역을 늘리고, 관련 예산도 확대하고 있으나, 사업이 지연되거나 중단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예상했던 사업효과도 미흡한 상황임
❍ 도시재생사업은 개별 사업지구의 특성에 따라 운영 및 추진체계가 상이하고, 핵심 참여 주체인 주민협의체의 참여방식도 다양하기 때문에 사업의 체계적 관리와 효과적 운영이 어려운 실정임
❍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이해와 경험 부족으로 야기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공공의 체계적 지원이 요구됨
❍ 또한, 국토부는 지방정부 차원의 도시재생사업 성과관리체계 구축을 권고하고 있어 도시재생사업의 실현성 검증, 연차별 추진실적 평가 등 중앙정부 성과관리 체계에 대한 인천시와 군·구의 효과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임
❍ 따라서 인천시 도시재생사업의 핵심인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더불어 마을사 업」에 대하여 사업추진 단계를 고려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모니터링 방안 수립이 필요함
❍ 본 연구는 인천시 도시재생사업의 통합적 모니터링 및 성과관리 체계를 수립하 고, 도시재생사업 단계별, 유형별 인천형 모니터링 및 성과관리 지표를 개발하 며, 도시재생사업 모니터링 및 성과관리를 위한 단계별 실행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음
❍ 인천시는 중앙정부 주도의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함께 인천광역시 자체 도시재 생사업인 더불어 마을사업을 추진하면서, 인천시 도시재생사업 구역을 늘리고, 관련 예산도 확대하고 있으나, 사업이 지연되거나 중단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예상했던 사업효과도 미흡한 상황임
❍ 도시재생사업은 개별 사업지구의 특성에 따라 운영 및 추진체계가 상이하고, 핵심 참여 주체인 주민협의체의 참여방식도 다양하기 때문에 사업의 체계적 관리와 효과적 운영이 어려운 실정임
❍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이해와 경험 부족으로 야기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공공의 체계적 지원이 요구됨
❍ 또한, 국토부는 지방정부 차원의 도시재생사업 성과관리체계 구축을 권고하고 있어 도시재생사업의 실현성 검증, 연차별 추진실적 평가 등 중앙정부 성과관리 체계에 대한 인천시와 군·구의 효과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임
❍ 따라서 인천시 도시재생사업의 핵심인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더불어 마을사 업」에 대하여 사업추진 단계를 고려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모니터링 방안 수립이 필요함
❍ 본 연구는 인천시 도시재생사업의 통합적 모니터링 및 성과관리 체계를 수립하 고, 도시재생사업 단계별, 유형별 인천형 모니터링 및 성과관리 지표를 개발하 며, 도시재생사업 모니터링 및 성과관리를 위한 단계별 실행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음
연구목차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