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표지_서봉만_식품안전정보센터.jpg

지역경제

인천식품안전정보센터 기능전환 및 발전방안

  • 연구자
  • 발행년도

    2021

  • 연구기간

    2021.01.01 ~ 2021.06.30

  • 연구유형

    정책

연구개요
■ 연구 개요

❍ 인천식품안전정보센터는 식품안전과 관련한 서비스를 통해 시민들의 안전과 지역 식품산업의 성장에 기여하는 역할 수행

❍ ‘인천식품안전정보센터’의 민간위탁기간 만료(20.12.31.)와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환경으로의 전환을 계기로 기존 대면 위주의 식품안전 교육·상담·홍보 기능이 효과적으로 진행되지 못하는 상황 발생

❍ 기존 ‘인천식품안전정보센터’의 사업 내용에 관한 분석과 함께 식품안전을 포함하는 식품 및 식품산업 관련 서비스 공급과 수요환경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인천식품안전정보센터의 기능전환과 발전방안을 고찰하는 것이 중요

❍ 아울러 중장기적인 인천시 식품안전과 식품산업 육성 인프라로서 인천식품안전정보센터의 기능전환에 관한 검토가 필요
연구목차
[1] 서론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 연구목적
3. 주요 연구내용
4.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5. 연구 흐름도

[2] 중앙정부와 인천시 정책 연계성 분석 및 인천식품안전정보센터 평가
1. 식품 및 식품산업 관련 규제와 정책 분야 개요
2. 식품 및 식품산업 관련 중앙정부 부처의 정책동향과 성과
3. 중앙정부 식품 및 식품산업 정책 관련 주요 조직과 기능
4. 인천시 식품 및 식품산업 관련 부처별 정책 현황
5. 인천시 식품 및 식품산업 정책 관련 핵심 조직과 기능
6. 중앙정부와 인천시 정책 연계 현황 분석 종합
7. 인천식품안전정보센터 평가와 기능전환 필요성

[3] 인천시 식품 및 식품산업 관련 서비스 수급 현황
1. 식품 및 식품산업 관련 서비스 개요
2. 인천시 식품 및 식품산업 관련 서비스 수급 관련 최근 동향
3. 인천시 식품 및 식품산업 품질 관련 서비스 수급 현황
4. 시사점

[4] 식품 및 식품산업 관련 공공 운영 지원기관 사례조사
1.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식품품질안전센터
2.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식품산업연구센터
3. 강원도 홍천 메디컬허브연구소

[5] 인천식품안전정보센터 기능전환 수요 설문조사
1. 식품업체 대상 설문조사 개요
2. 식품업체 대상 설문조사 결과
3. 식품업계 전문가 대상 AHP 설문조사 개요
4. 식품업계 전문가 대상 AHP 분석 결과
5. 요약 및 시사점

[6]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연관 검색
연관 미디어

프로필

  •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

주요연구실적

연구보고서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