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환경안전
특·광역시 에너지 지속가능성 평가 지표 체계 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21
- 연구기간
2021.03.01 ~ 2021.08.31
- 연구유형
기획
연구개요
■ 연구 개요
❍ 국내 7개 특·광역시는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2019년 기준 31.1%)이나 온실가스 배출량 비중(2018년 기준 21.8%) 측면에서 국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 않은데, 자체적으로 지역에너지계획이나 에너지 관련 조례 등을 수립하고서 그 목적과 비전을 통해 지속가능한 에너지 체계를 추구하고 있음.
❍ 이 연구는 7개 특·광역시를 대상으로 에너지 지속가능성 측면에서의 평가 지표 체계를 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들 지자체에 대한 평가를 함으로써 각 지자체의 에너지 정책 여건을 진단하며, 특히 향후 인천광역시 에너지 정책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연구임.
❍ 국내 7개 특·광역시는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2019년 기준 31.1%)이나 온실가스 배출량 비중(2018년 기준 21.8%) 측면에서 국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 않은데, 자체적으로 지역에너지계획이나 에너지 관련 조례 등을 수립하고서 그 목적과 비전을 통해 지속가능한 에너지 체계를 추구하고 있음.
❍ 이 연구는 7개 특·광역시를 대상으로 에너지 지속가능성 측면에서의 평가 지표 체계를 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들 지자체에 대한 평가를 함으로써 각 지자체의 에너지 정책 여건을 진단하며, 특히 향후 인천광역시 에너지 정책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연구임.
연구목차
[1]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대상 및 범위
[2] 특·광역시 에너지 관련 정책 및 에너지 지속가능성 관련 주요 지표 현황
1. 특·광역시 에너지 관련 정책
2. 에너지 지속가능성 관련 주요 지표 현황
[3] 특·광역시 에너지 지속가능성 평가 지표 체계 구축 및 지표별 현황
1. 에너지 지속가능성 평가 지표 체계 구축
2. 지표별 현황
[ 4] 분석 결과
[5] 결론 및 제언
1. 연구 결과 요약
2. 정책 제언
3. 연구의 한계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대상 및 범위
[2] 특·광역시 에너지 관련 정책 및 에너지 지속가능성 관련 주요 지표 현황
1. 특·광역시 에너지 관련 정책
2. 에너지 지속가능성 관련 주요 지표 현황
[3] 특·광역시 에너지 지속가능성 평가 지표 체계 구축 및 지표별 현황
1. 에너지 지속가능성 평가 지표 체계 구축
2. 지표별 현황
[ 4] 분석 결과
[5] 결론 및 제언
1. 연구 결과 요약
2. 정책 제언
3. 연구의 한계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