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도시계획
녹지축 경관 보호를 위한 건축물 높이기준 개선방안
- 연구자
- 발행년도
2022
- 연구기간
2022.01.01 ~ 2022.06.30
- 연구유형
정책
연구개요
■ 연구 개요
○ 최근 재개발, 재건축 등 정비사업으로 고층 건축물이 부문별하게 입지하여 자연경관 훼손 및 주변지역의 조망관련 피해가 발생하고 있음
○ 특정지역에는 경관지구 및 고도지구 등을 중심으로 최고높이를 관리하고 있으나 그 기준이 일관적이지 않아, 한남정맥 등을 연계한 통일된 건축물 높이 관리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 건축물 높이의 변화는 도시경관 및 주변지역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도시차원에서 필요한 검토 시행
○ 최근 재개발, 재건축 등 정비사업으로 고층 건축물이 부문별하게 입지하여 자연경관 훼손 및 주변지역의 조망관련 피해가 발생하고 있음
○ 특정지역에는 경관지구 및 고도지구 등을 중심으로 최고높이를 관리하고 있으나 그 기준이 일관적이지 않아, 한남정맥 등을 연계한 통일된 건축물 높이 관리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 건축물 높이의 변화는 도시경관 및 주변지역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도시차원에서 필요한 검토 시행
연구목차
[1]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연구의 주요 내용
[2] 관련제도 및 선행연구 검토
1. 인천시 건축물 높이관리 정책
2. 타 시도 건축물 높이관리 현황
3. 해외사례 검토
4. 소결: 건축물 높이관리의 필요성
[3] 인천시 높이관리 현황 및 문제점
1. 인천시 S자 녹지축의 경관가치
2. 인천시 높이관리 현황 분석
3. 인천시 주요 조망경관 분석
4. 인천시 S자 녹지축 주변 높이변화 예상
[4] 인천시 건축물 높이관리 방안
1. 주요 조망축의 가시면적 유지방안
2. 주요 녹지축 주변의 건축물 평균높이 적용
3. 공간위계 등을 고려한 건축물 높이기준 마련
4. 인천시 전체의 가로구역별 높이 가이드라인 수립
[5] 연구요약 및 정책제언
1. 연구결과
2. 정책제언
3. 향후과제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연구의 주요 내용
[2] 관련제도 및 선행연구 검토
1. 인천시 건축물 높이관리 정책
2. 타 시도 건축물 높이관리 현황
3. 해외사례 검토
4. 소결: 건축물 높이관리의 필요성
[3] 인천시 높이관리 현황 및 문제점
1. 인천시 S자 녹지축의 경관가치
2. 인천시 높이관리 현황 분석
3. 인천시 주요 조망경관 분석
4. 인천시 S자 녹지축 주변 높이변화 예상
[4] 인천시 건축물 높이관리 방안
1. 주요 조망축의 가시면적 유지방안
2. 주요 녹지축 주변의 건축물 평균높이 적용
3. 공간위계 등을 고려한 건축물 높이기준 마련
4. 인천시 전체의 가로구역별 높이 가이드라인 수립
[5] 연구요약 및 정책제언
1. 연구결과
2. 정책제언
3. 향후과제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