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도시계획
인천시 계층별 주거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방향
- 연구자
- 발행년도
2022
- 연구기간
2022.02.01 ~ 2022.07.31
- 연구유형
기획
연구개요
■ 연구 개요
❍ 본 연구는 포용도시 측면에서 주거부문의 사회적 배제를 최소화하는 소득별, 계층별 주거격차 및 양극화분석에 따른 정책방향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음
❍ 2020년 국토교통부의 주거실태조사를 활용하여 계층별 주택자산 및 주거서비스의 격차분석과 주거지표를 통한 계층별 주거격차 분석을 시계열적으로 실시하여 주거양극화를 완화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제시함
❍ 본 연구는 포용도시 측면에서 주거부문의 사회적 배제를 최소화하는 소득별, 계층별 주거격차 및 양극화분석에 따른 정책방향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음
❍ 2020년 국토교통부의 주거실태조사를 활용하여 계층별 주택자산 및 주거서비스의 격차분석과 주거지표를 통한 계층별 주거격차 분석을 시계열적으로 실시하여 주거양극화를 완화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제시함
연구목차
[1]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연구의 내용 및 흐름
[2] 계층별 주거격차 고찰 및 관련 정책
1. 주거격차에 대한 선행 연구
2. 포용도시와 주거격차
3. 주거격차 관련 지원 제도 및 정책
4. 소결
[3] 계층별 주거실태에 따른 격차 분석
1. 인천시 계층별 분석 기준 및 주거현황
2. 계층별 주거실태에 따른 주거서비스 격차 분석
3. 소결
[4] 소득 및 계층별 주거격차 분석
1. 계층별 주거격차 분석방법론
2. 5분위분배율에 따른 주거격차 분석
3. 소득불평등에 따른 주거격차 분석
4. 소결
[5] 계층별 주거격차완화를 위한 정책방향
1. 주거격차완화를 위한 기본방향
2. 주거격차완화를 위한 주거서비스 정책방향
3. 계층별 맞춤형 임대주택 공급방향
4. 주택자산격차 완화 방향
[6] 결론
1. 결론
2. 연구의 한계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연구의 내용 및 흐름
[2] 계층별 주거격차 고찰 및 관련 정책
1. 주거격차에 대한 선행 연구
2. 포용도시와 주거격차
3. 주거격차 관련 지원 제도 및 정책
4. 소결
[3] 계층별 주거실태에 따른 격차 분석
1. 인천시 계층별 분석 기준 및 주거현황
2. 계층별 주거실태에 따른 주거서비스 격차 분석
3. 소결
[4] 소득 및 계층별 주거격차 분석
1. 계층별 주거격차 분석방법론
2. 5분위분배율에 따른 주거격차 분석
3. 소득불평등에 따른 주거격차 분석
4. 소결
[5] 계층별 주거격차완화를 위한 정책방향
1. 주거격차완화를 위한 기본방향
2. 주거격차완화를 위한 주거서비스 정책방향
3. 계층별 맞춤형 임대주택 공급방향
4. 주택자산격차 완화 방향
[6] 결론
1. 결론
2. 연구의 한계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