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동북아국제
한반도 탄소중립을 위한 인천시의 남북협력 정책과 과제
- 연구자
- 발행년도
2022
- 연구기간
2022.02.01 ~ 2022.07.31
- 연구유형
기획
연구개요
■ 연구 개요
❍ 본 연구는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국제사회의 협력 컨센서스에 한반도 역시 예외가 아니라는 점에서 인천 접경수역이 한반도 평화를 견인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임을 확인하고 정부의 남북 그린데탕트 구상과 인천의 탄소중립 정책을 연계할 수 있는 인천형 남북 기후환경협력 추진방향과 실천과제를 제시함.
❍ 본 연구는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국제사회의 협력 컨센서스에 한반도 역시 예외가 아니라는 점에서 인천 접경수역이 한반도 평화를 견인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임을 확인하고 정부의 남북 그린데탕트 구상과 인천의 탄소중립 정책을 연계할 수 있는 인천형 남북 기후환경협력 추진방향과 실천과제를 제시함.
연구목차
[1]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선행연구 검토
4. 연구수행체계
[2] 국내외 기후변화 대응 정책 동향
1. 개요
2. 대외적 정책환경
3. 대내적 정책환경
4. 종합 및 시사점
[3] 북한의 기후변화 현실과 정책수요
1. 개요
2. 기후변화의 현실과 영향
3. 기후변화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정책수요
4. 종합 및 시사점
[4]인천시의 남북 탄소중립협력 추진방향과 실천과제
1. 개요
2. 인천시 남북 탄소중립협력 여건과 추진방향
3. 인천시의 남북 그린데탕트 실천과제
[5]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남북 그린데탕트’ 구상의 핵심, 인천 접경수역
2. 정책제언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선행연구 검토
4. 연구수행체계
[2] 국내외 기후변화 대응 정책 동향
1. 개요
2. 대외적 정책환경
3. 대내적 정책환경
4. 종합 및 시사점
[3] 북한의 기후변화 현실과 정책수요
1. 개요
2. 기후변화의 현실과 영향
3. 기후변화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정책수요
4. 종합 및 시사점
[4]인천시의 남북 탄소중립협력 추진방향과 실천과제
1. 개요
2. 인천시 남북 탄소중립협력 여건과 추진방향
3. 인천시의 남북 그린데탕트 실천과제
[5]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남북 그린데탕트’ 구상의 핵심, 인천 접경수역
2. 정책제언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