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교육복지
인천광역시 지역사회통합돌봄정책 방향 설정 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22
- 연구기간
2022.03.01 ~ 2022.08.31
- 연구유형
기획
연구개요
■ 연구 개요
❍ 본 연구는 「2022년 인천광역시 지역사회통합돌봄 시범사업」에 참여 중인 동구, 미추홀구, 부평구의 사업계획을 분석하여 노인들이 지역사회에서 다른 사회계층과 건강하게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인천광역시 지역사회통합돌봄정책의 방향 설정에 필요한 제안을 제시하고자 함
❍ 본 연구는 「2022년 인천광역시 지역사회통합돌봄 시범사업」에 참여 중인 동구, 미추홀구, 부평구의 사업계획을 분석하여 노인들이 지역사회에서 다른 사회계층과 건강하게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인천광역시 지역사회통합돌봄정책의 방향 설정에 필요한 제안을 제시하고자 함
연구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내용
4. 연구의 진행 흐름
[2] 포용도시와 노인돌봄 연계 필요성
1. 포용도시 논의
2. 보편적 기본서비스
[3] 인천광역시의 사회적 포용과 안전 필요성
1. 인천광역시와 군·구의 사회경제적 현황
2. 인천광역시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현황
3. 인천광역시의 사회적 포용성 제고 필요성
[4] 중앙정부 및 인천광역시 지역사회통합돌봄사업
1. 중앙정부 지역사회통합돌봄 선도사업
2. 2022년 인천광역시 지역사회통합돌봄 시범사업
3. 3개 자치구의 2022년 지역사회통합돌봄 시범사업 계획
[5]2022년 인천광역시 지역사회통합돌봄 시범사업 개선 방향
1. 3개 자치구의 지역사회통합돌봄 시범사업 계획 비교분석
2. 2022년 인천광역시 지역사회통합돌봄 시범사업의 개선 방향
[6] 결론
1. 노인에 대한 포용상생과 지역사회통합돌봄 시범사업의 정책 방향
2. 포용상생을 위한 지역사회통합돌봄의 의미 재확인
3. 연구의 한계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내용
4. 연구의 진행 흐름
[2] 포용도시와 노인돌봄 연계 필요성
1. 포용도시 논의
2. 보편적 기본서비스
[3] 인천광역시의 사회적 포용과 안전 필요성
1. 인천광역시와 군·구의 사회경제적 현황
2. 인천광역시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현황
3. 인천광역시의 사회적 포용성 제고 필요성
[4] 중앙정부 및 인천광역시 지역사회통합돌봄사업
1. 중앙정부 지역사회통합돌봄 선도사업
2. 2022년 인천광역시 지역사회통합돌봄 시범사업
3. 3개 자치구의 2022년 지역사회통합돌봄 시범사업 계획
[5]2022년 인천광역시 지역사회통합돌봄 시범사업 개선 방향
1. 3개 자치구의 지역사회통합돌봄 시범사업 계획 비교분석
2. 2022년 인천광역시 지역사회통합돌봄 시범사업의 개선 방향
[6] 결론
1. 노인에 대한 포용상생과 지역사회통합돌봄 시범사업의 정책 방향
2. 포용상생을 위한 지역사회통합돌봄의 의미 재확인
3. 연구의 한계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