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교육복지
‘건강도시 인천’ 조성 방안 연구
- 연구자
- 발행년도
2023
- 연구기간
2023.01.01 ~ 2023.06.30
- 연구유형
정책
연구개요
■ 연구 개요
❍ 본 연구는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에 따라 2023년 12월부터 인천광역시도 건강도시사업을 실시해야 하는 보건의료정책적 환경변화에서 2022년 7월 시작된 인천광역시 민선8기 집행부가 시정목표로 제시한 “시민이 행복한 세계 초일류도시 인천”을 도시건강 분야에서 실현할 수 있도록 건강도시사업의 비전·목표·전략에 대한 구상뿐만 아니라, 조례·담당부서·전담인력·관련 위원회 등 거버넌스 구축, 사업 개발, 민관협력과 광역지자체-기초지자체 간 협력체계 구축 등의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괜찮지 않은 인천시민의 건강 상태를 다양한 지표를 통해 확인하고, 이를 향상·관리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 본 연구는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에 따라 2023년 12월부터 인천광역시도 건강도시사업을 실시해야 하는 보건의료정책적 환경변화에서 2022년 7월 시작된 인천광역시 민선8기 집행부가 시정목표로 제시한 “시민이 행복한 세계 초일류도시 인천”을 도시건강 분야에서 실현할 수 있도록 건강도시사업의 비전·목표·전략에 대한 구상뿐만 아니라, 조례·담당부서·전담인력·관련 위원회 등 거버넌스 구축, 사업 개발, 민관협력과 광역지자체-기초지자체 간 협력체계 구축 등의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괜찮지 않은 인천시민의 건강 상태를 다양한 지표를 통해 확인하고, 이를 향상·관리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연구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내용 및 범위
4. 연구방법
5. 연구진행 흐름
[2] 건강도시와 건강도시사업
1. 건강도시 개념
2. 건강도시사업
[3] 인천시민의 건강상태
1. 인천시민의 건강상태
2. 인천시민의 건강상태와 건강도시 조성사업의 방향
[4]건강도시사업을 둘러싼 법적·제도적 환경변화
1. 제5차 국민건강증진계획(HP 2030)
2. 건강도시사업을 위한 별도의 법률 제정 노력
3. 건강도시사업 법제화와 「국민건강증진법」 개정
4. 「제8기 지역보건의료계획(2023~2026)」 수립
5. 인천광역시 민선 8기 보건의료정책의 방향
[5] 지자체 건강도시 관련 조례 및 조직
1. 지자체 건강도시 관련 조례 및 조직 현황
2. 광역지자체 건강도시 관련 조례 및 조직
3. 광역지자체 건강도시사업 현황
4. 기초지자체 건강도시사업 현황
[6] 건강도시 인천 조성 방안
1. 건강도시 인천 조성의 필요성
2. 건강도시 인천 조성 방안
[7] 결론
1. 정책제언
2. 단계적 추진방안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내용 및 범위
4. 연구방법
5. 연구진행 흐름
[2] 건강도시와 건강도시사업
1. 건강도시 개념
2. 건강도시사업
[3] 인천시민의 건강상태
1. 인천시민의 건강상태
2. 인천시민의 건강상태와 건강도시 조성사업의 방향
[4]건강도시사업을 둘러싼 법적·제도적 환경변화
1. 제5차 국민건강증진계획(HP 2030)
2. 건강도시사업을 위한 별도의 법률 제정 노력
3. 건강도시사업 법제화와 「국민건강증진법」 개정
4. 「제8기 지역보건의료계획(2023~2026)」 수립
5. 인천광역시 민선 8기 보건의료정책의 방향
[5] 지자체 건강도시 관련 조례 및 조직
1. 지자체 건강도시 관련 조례 및 조직 현황
2. 광역지자체 건강도시 관련 조례 및 조직
3. 광역지자체 건강도시사업 현황
4. 기초지자체 건강도시사업 현황
[6] 건강도시 인천 조성 방안
1. 건강도시 인천 조성의 필요성
2. 건강도시 인천 조성 방안
[7] 결론
1. 정책제언
2. 단계적 추진방안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