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환경안전
한강하구 탄소흡수력 현황 및 관리방안
- 연구자
- 발행년도
2023
- 연구기간
2023.01.01 ~ 2023.06.30
- 연구유형
기획
연구개요
■ 연구 개요
❍ 최근 기후위기 적응 및 탄소중립을 위하여 갯벌·바다숲 등의 탄소흡수원(블루카본) 보전 및 확대에 대한 중요성이 국제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국내 갯벌·습지의 탄소흡수원으로서의 기능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음
❍ 인천광역시는 연안습지 면적이 728.3㎢로 전국 특광역시도 중에서 2번째로 넓은 면적을 보유하고 있고, 인천 강화도 지역이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한강하구 일대에는 여러 내륙 및 연안습지가 포함되어 있음
❍ 이에 탄소중립의 주요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기수역 습지가 잘 보존된 한강하구 일대의 탄소흡수력 현황을 파악하고, 한강하구 탄소흡수력 제고를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최근 기후위기 적응 및 탄소중립을 위하여 갯벌·바다숲 등의 탄소흡수원(블루카본) 보전 및 확대에 대한 중요성이 국제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국내 갯벌·습지의 탄소흡수원으로서의 기능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음
❍ 인천광역시는 연안습지 면적이 728.3㎢로 전국 특광역시도 중에서 2번째로 넓은 면적을 보유하고 있고, 인천 강화도 지역이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한강하구 일대에는 여러 내륙 및 연안습지가 포함되어 있음
❍ 이에 탄소중립의 주요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기수역 습지가 잘 보존된 한강하구 일대의 탄소흡수력 현황을 파악하고, 한강하구 탄소흡수력 제고를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연구목차
[1]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습지 탄소흡수원의 중요성 및 법제도
1. 습지 탄소흡수원의 중요성
2. 한강하구 일대 습지 및 갯벌 분포
3. 국내 습지 탄소흡수원 관련 법령 및 정책 동향
[3] 한강하구 탄소흡수력 면적 및 탄소흡수력 추정
1. 국내 해양생태계 탄소흡수량 현황
2. 한강하구 탄소흡수원 면적 및 탄소흡수력 추정 결과
[4] 한강하구 탄소흡수력 관리방안 우선순위 도출을 위한 설문조사
1. 설문조사 개요
2. 설문조사 분석 결과
[5] 정책 제언
1. 인천광역시 한강하구 탄소흡수력 관리정책 방향
2. 한강하구 탄소흡수력 제고를 위한 단계적 관리방안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습지 탄소흡수원의 중요성 및 법제도
1. 습지 탄소흡수원의 중요성
2. 한강하구 일대 습지 및 갯벌 분포
3. 국내 습지 탄소흡수원 관련 법령 및 정책 동향
[3] 한강하구 탄소흡수력 면적 및 탄소흡수력 추정
1. 국내 해양생태계 탄소흡수량 현황
2. 한강하구 탄소흡수원 면적 및 탄소흡수력 추정 결과
[4] 한강하구 탄소흡수력 관리방안 우선순위 도출을 위한 설문조사
1. 설문조사 개요
2. 설문조사 분석 결과
[5] 정책 제언
1. 인천광역시 한강하구 탄소흡수력 관리정책 방향
2. 한강하구 탄소흡수력 제고를 위한 단계적 관리방안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