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도시계획
인천 내항 배후산업공간의 역사적‧장소적 가치해석
- 연구자
- 발행년도
2023
- 연구기간
2023.03.01 ~ 2023.08.31
- 연구유형
기획
연구개요
■ 연구 개요
❍ 산업유산에 내재한 산업역사의 도출과 현재 산업생태계의 시간적·공간적 분석을 통해 제물포르네상스 대상지가 산업 측면에서 가지는 역사적·장소적 가치를 발굴하고자 함
❍ 이를 바탕으로 산업공간의 재창조 방안을 모색하고, 제물포르네상스 프로젝트의 차별화된 장소적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고자 함
❍ 산업유산에 내재한 산업역사의 도출과 현재 산업생태계의 시간적·공간적 분석을 통해 제물포르네상스 대상지가 산업 측면에서 가지는 역사적·장소적 가치를 발굴하고자 함
❍ 이를 바탕으로 산업공간의 재창조 방안을 모색하고, 제물포르네상스 프로젝트의 차별화된 장소적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고자 함
연구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주요 연구내용
[2] 산업유산 관련 이론과 제도 검토
1. 산업유산의 개념과 유형
2. 산업유산의 활용
3. 산업유산 관련 정책과 제도
4. 인천시 산업유산 가치 해석과 활용의 시사점
[3] 내항 배후산업공간의 역사와 현황
1. 내항 배후산업공간의 시기별 구분
2. 특화산업과 공간적 산업 생태계 현황
3. 건축자산 기반 산업유산 조사
4. 인천 내항 배후산업공간의 시기별·공간별·산업별 연계성
[4]산업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 사례
1. 복합문화공간 활용사례
2. 창업혁신공간 활용사례
3. 교육체험공간 활용사례
4. 구조물을 오브제로 활용한 사례
5. 사례조사 시사점 종합
[5] 산업유산을 통한 역사적·장소적 가치 해석과 활용방안
1. 인천 내항 배후산업공간의 역사적·장소적 가치
2. 인천 내항 배후산업공간의 산업유산 활용방안 제안
[6] 결론 및 향후 과제
1. 결론
2. 향후 과제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주요 연구내용
[2] 산업유산 관련 이론과 제도 검토
1. 산업유산의 개념과 유형
2. 산업유산의 활용
3. 산업유산 관련 정책과 제도
4. 인천시 산업유산 가치 해석과 활용의 시사점
[3] 내항 배후산업공간의 역사와 현황
1. 내항 배후산업공간의 시기별 구분
2. 특화산업과 공간적 산업 생태계 현황
3. 건축자산 기반 산업유산 조사
4. 인천 내항 배후산업공간의 시기별·공간별·산업별 연계성
[4]산업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 사례
1. 복합문화공간 활용사례
2. 창업혁신공간 활용사례
3. 교육체험공간 활용사례
4. 구조물을 오브제로 활용한 사례
5. 사례조사 시사점 종합
[5] 산업유산을 통한 역사적·장소적 가치 해석과 활용방안
1. 인천 내항 배후산업공간의 역사적·장소적 가치
2. 인천 내항 배후산업공간의 산업유산 활용방안 제안
[6] 결론 및 향후 과제
1. 결론
2. 향후 과제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