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2024_기획표지_남근우_이민사박물관.jpg

동북아국제

한국이민사박물관 및 인천상륙작전기념관 국립화 방안

  • 연구자
  • 발행년도

    2024

  • 연구기간

    2024.05.01 ~ 2024.09.30

  • 연구유형

    기획

연구개요

한국이민사박물관과 인천상륙작전기념관의 국립화 격상을 통해 인천의 역사적 정체성 강화 필요
인천의 역사적 정체성 강화를 위한 인천시 역사문화자산의 국립화 격상 필요

인천은 역사적으로 개항과 이민의 도시이자 개척과 독립 그리고 자유와 평화의 가치를 대한민국과 세계로 확산시킨 도시이다. 1984년과 2008년 시립으로 개관한 인천상륙작전기념관과 한국이민사박물관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역사인 한인 이민과 인천상륙작전의 역사를 오롯이 담고 있는 인천의 역사적 정체성을 대표하는 역사문화자산이다.

그러나 한국이민사박물관과 인천상륙작전기념관은 소장유물의 부족과 협소한 전시공간으로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전시구성과 전시연출에 제약을 받고 있다. 또한, 한인 이민과 인천상륙작전이 전개된 역사·장소성도 취약하다는 지적도 받는다. 이에 한국이민사박물관과 인천상륙작전기념관을 국립시설로 격상해 대한민국의 역사를 대표하는 상징공간으로 재조성해 인천의 역사적 정체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국립시설로 격상된 국내 기념공간 사례를 검토해 시사점 도출
본 연구는 국립시설(국가소유)로 전환된 국립익산박물관, 매헌윤봉길의사기념관, 국립신암선열공원 등 3개 시설의 국립화 전환과정을 사례 분석해 인천시 역사문화자산의 국립화 격상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국립시설로 격상된 사례 모두 역사문화적 스토리를 갖춘 국가적 상징성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국립화 전환과정에서 지자체장의 강력한 국립화 의지와 이를 정책적으로 뒷받침한 지역 국회의원들의 정책지원이 가장 중요했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사례조사 시설들 모두 국립화 전환과정에서 지역사회의 공감대가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국립화 격상의 논거를 마련하기 위해 인천지역 정치권, 학계, 관계 전문가, 언론 등 지역 오피니언 리더들의 다양한 역할이 요구된다.

선택과 집중을 통해 우선 인천상륙작전기념관의 국립화 격상 논의 필요
역사문화자산의 국립화 전환을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도 있다. 인천에는 국립세계문자박물관(2023년 개관)과 국립인천해양박물관(2024년 개관) 등 2개의 국립박물관이 들어서 있다. 비록 인천의 정체성에 부합하지 않지만 지역균형발전의 측면에서 또 다른 국립시설이 들어서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선택과 집중을 통해 국립화 격상의 타당성을 갖춘 시설을 우선 대상으로 선정해 정부의 정책기조에 부합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인천은 2023년부터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를 대규모 주간행사로 개최하고 있다. 2025년부터는 인천상륙작전에 참전한 국가들의 정상이 참여하는 국제행사로 승격해 개최할 예정이다. 또한, 인천시는 인천상륙작전이 감행된 9월 15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하기 위해 국가기념일 지정 건의문을 국가보훈부에 제출하였다. 정부의 보훈 관련 정책기조는 보훈문화 정착 및 확산을 위해 자유 대한민국을 상징할 수 있는 상징공간 조성에 맞춰져 있다. 따라서 정부의 보훈정책 기조에 맞춰 우선 인천상륙작전기념관을 국가상징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국립화 격상 사례에서 확인했듯이 국립화 격상은 명확한 근거와 논리가 마련되어야 한다. 인천상륙작전은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수호한 역사적 사건이라는 점에서 인천상륙작전기념관을 국가적 상징공간으로 조성할 명분과 필요성은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따라서 지자체장과 지역 국회의원 그리고 오피니언 리더들은 인천의 역사적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해 인천상륙작전기념관을 우선적으로 국립화하기 위한 논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

연구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연구수행체계

[2] 한인 이민과 인천상륙작전 개황(槪況)
1. 개요
2. 한인 이민
3. 인천상륙작전
4. 종합 및 시사점

[3] 국립화 격상 사례조사
1. 개요
2. 국립화 격상 사례
3. 종합 및 시사점

[4] 국립화 격상 과정과 방안
1. 개요
2. 국립화 격상 과정과 방안

[5]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프로필

  •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

주요연구실적

연구보고서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