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브리프

내용
Executive Summary
⊙ 라키비움의 개념과 유형
☞ 라키비움(Larchiveum)은 도서관(Library), 기록관(Archive), 박물관(Museum)의 기능을 혼합해 다양한 매체의 정보자원을 집약적으로 수용하고 종합적으로 서비스하는 복합문화기관을 지칭함
⊙ 교동도 지역 여건
☞ 교동도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에 속하며 북한과 3.2km 거리에 있는 최접경지역으로 섬 북부에서는 황해도 땅을 쉽게 바라볼 수 있음
☞ 교동도의 인구수는 2017년 1월 기준 3,011명으로, 한국전쟁 당시 황해도 연백군에서 교동도로 피난 왔다가 돌아가지 못한 실향민 3만여 명 중 약 70여명이 현재 교동도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 교동도에는 섬이자 접경지역이라는 여건 상 도서관, 공연장, 전시실 등 주민들의 문화향유와 교육, 활동을 위한 문화기반시설이 전무한 상황임
⊙ 교동라키비움 추진 현황
☞ 교동라키비움은 접경지역이라는 교동도의 지역여건을 활용하여 교동도를 평화와 통일의 상징으로 개발하기 위해 2016년 4월부터 행정자치부의 주도 아래 진행되고 있는 ‘교동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됨
☞ 교동도 프로젝트에는 7개 기관(행정자치부, 통일부, 인천시, 강화군, KT, 한국농어촌공사, 인천관광공사)이 참여하고 있으며, 이 중 KT가 복합문화시설인 ‘교동라키비움’의 조성을 수행함
☞ 교동라키비움은 주민들을 위한 복합문화공간, 평화를 향한 상징적 랜드마크, 교동도의 문화관광메카를 지향하며, 야외광장과 지상 2층(홍보실, 화상강좌실, 카페, 전시실)으로 구성됨 →현재 건축물은 완공됐고 내부설비 및 인테리어, 야외무대 공사가 마무리되면 2017년 중 개관할 예정임
⊙ 국내 라키비움 사례
☞ 국립중앙도서관은 2016년 3월에 리모델링을 통해 기존 도서관에서 복합문화공간으로서 기능을 갖춘 라키비움으로 전환함, 지하 3층 기록매체박물관, 1층 전시실, 2층 문학실 등을 조성하여 다양한 보유자원을 전문적으로 관리·보존하고 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있음
- 국립중앙도서관처럼 교동라키비움의 설립 목적과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교동도의 역사문화 자료를 발굴, 축적하고 이를 디지털화하여 자료에 대한 접근성과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함
☞ 2015년 7월에 개관한 청학동 기가(GiGA)서당은 ICT기술과 인프라를 바탕으로 농촌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농촌관광과 직거래를 활성화해 주민소득을 향상시킨다는 취지로 농림축산식품부와 KT가 추진한 ‘기가 창조마을’사업의 일환으로 건립됨
- 기가서당은 기존 청학 작은도서관의 자료를 디지털화해 정리하고, 이를 주민들에게 제공하며 훈장이 전통문화 교육을 진행한다는 점에서 도서관과 아카이브, 문화교육시설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함
⊙ 교동라키비움 활용방안
☞ 교동라키비움의 활용 기본방향을 ①주민들의 복합문화공간 역할 수행, ②교동도의 역사문화 자료 발굴,축적,전시 기능, ③평화와 통일의 상징적 교류 및 치유 공간 지향, ④지역 관광활성화 및 방문객 정보 접근성 제고로 설정하고 이에 따른 추진사업을 제시함
☞ 교동라키비움은 현재 조성된 공간 용도에 따라 ①복합문화공간, ②전시체험공간, ③평화소통공간, ④관광정보공간의 융복합적 성격을 띠며, 연중무휴로 주민과 관광객이 활용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을 지향해야 함
☞ 이를 통해 2018년 올해의 관광도시로 선정된 강화군의 관광인프라를 개선하고 지역주민의 문화생활 수준을 향상시켜 삶의 질을 개선하도록 함
문제제기
⊙ 인천시 강화군 교동도는 강화도 북서부에 위치한 섬으로 바다 건너 황해도가 보이는 접경지역인데다 도서라는 지리적 한계 때문에 발전이 더디게 진행되어 옴
⊙ 행정자치부는 2016년 4월부터 교동도의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교동도 프로젝트'를 진행해오고 있음 이 사업은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고 기업, 지자체, 중앙정부가 협치를 통해 교동도를 평화와 통일의 상징으로 개발하는 프로젝트임
⊙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라키비움(Larchiveum)이 2017년 초에 준공될 예정이며, 향후 이 시설은 지역주민과 방문객을 위한 관광안내실, 화상강의실, 작은갤러리, 카페 등 다목적 문화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임
⊙ 라키비움의 개관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이 공간이 교동도 지역주민의 생활문화를 진흥하고 평화와 통일의 상징적 교류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다방면에서 특성화된 활용방안의 모색이 필요함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
-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
주요연구실적
연구보고서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