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브리프

내용
Executive Summary
⊙ 최근 저출산, 인구 감소의 우려 속에서 인천 인구 300만 명이라는 이슈는 지역사회와 경제에 호재라고 할 수 있지만, 향후 300만 인구 규모가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전망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인구의 절대적 규모에 대한 면밀한 전망과 인구 구성, 인구이동 현황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 이러한 취지에서 향후 300만 인구 규모의 도래 시기를 예측하고 인천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을 전망하고 대응하는 작업으로, 인천시 인구의 증가, 연령별 구성과 서울, 경기의 인구이동 분석 결과를 공유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아래와 같이 제언하고자 함
⊙ [제언 1: 인구 300만 명은 2024년 내외] 최근의 인구양상을 살펴보면, 사회적 인구이동의 순전출 조짐이 나타나는 관계로, 인천 총인구의 증가 폭이 예상보다 줄어들 가능성이 보임
- 인천의 인구증가율(2010년 1.81%, 2014년 0.95%, 2016년 0.63%, 2017년 0.30%)은 2010년 이후 계속하여 감소해왔음
- 최근에는 사회적 인구이동의 순전출 조짐이 나타나고 있으며, 인천시 총인구의 증가 폭이 낮아 2024년 내외에 300만 명에 도달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
⊙ [제언 2: 인구 구성에 초점을 둔 질적 평가] 인천 시민의 관점에서 더 중요한 것은, 인구의 절대적 규모보다는 인구와 연계된 경제, 사회, 복지, 문화, 삶의 질의 문제라 할 수 있음
- 인천 인구 구성을 살펴보면, 경제적으로 중요한 핵심경제활동인구 연령층(25~49세)의 구성 비율이 저출산 고령화라는 인구 구조적 영향으로 계속 낮아지는 가운데, 서울 및 경기 지역에 비해서도 상대적으로 낮은 현상을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음
- 더불어, 복지 재정의 부담과 직결되는 노령층과 생산계층의 구성 비율을 지속가능성 관점에서 진단하고 전망하는 것이 중요함
문제제기
⊙ 저출산, 인구 감소의 우려 속에서 인천시 인구가 300만 명에 다다른다는 전망은 지역사회와 경제에 호재라고 할 것임
⊙ 향후 300만 명이라는 인구 규모가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을 전망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인구의 절대적 규모에 대한 면밀한 예측과 더불어 인구 구성, 인구 이동 현황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음
⊙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인천시 인구의 성장, 연령별 구성과 수도권(서울, 경기) 지역과의 인구이동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한 주요 결과를 지역사회와 공유하고자 함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
주요연구실적
연구보고서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