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한중 도시교류와 인문유대:인천-톈진 사례

  • 등록일

    2014-02-03

최근 한중 교류의 주요 내용이자 형식으로 제기하고 있는 인문유대의 배경 및 내용을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한중 국제교류의 새로운 방식으로서 인문유대가 갖는 유용성과 한계를 알아 봄. 동북아 국제관계의 내실화를 위하여 역사·문화와 같은 소프트파워를 운용한 협력의제 발굴 필요

인천광역시의 대 중국교류 현황 및 인천-톈진 간 인문유대 추진 내역을 살펴보고 그 함의를 논의함
세계화와 지방화가 교차하는 Glocalization 시대에 지방외교의 역할 제고. 국제정세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도시정부 차원에서의 인문유대 추진 필요

<목  차>
1. 아시아 패러독스와 인문유대
2. 인문유대를 통한 한중관계 내실화 구상
3. 인천 – 톈진 간 인문유대 논의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