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도시교류와 인문유대:인천-톈진 사례
- 등록일
2014-02-03
최근 한중 교류의 주요 내용이자 형식으로 제기하고 있는 인문유대의 배경 및 내용을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한중 국제교류의 새로운 방식으로서 인문유대가 갖는 유용성과 한계를 알아 봄. 동북아 국제관계의 내실화를 위하여 역사·문화와 같은 소프트파워를 운용한 협력의제 발굴 필요
인천광역시의 대 중국교류 현황 및 인천-톈진 간 인문유대 추진 내역을 살펴보고 그 함의를 논의함
세계화와 지방화가 교차하는 Glocalization 시대에 지방외교의 역할 제고. 국제정세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도시정부 차원에서의 인문유대 추진 필요
<목 차>
1. 아시아 패러독스와 인문유대
2. 인문유대를 통한 한중관계 내실화 구상
3. 인천 – 톈진 간 인문유대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