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사회] 신중국 75년, 도시화 현황

  • 등록일

    2024-10-14

2024년 9월 9일 중국 통계국(统计局)이 발표한 「신중국 75년 경제사회발전 성과 보고서(新中国75年经济社会发展成就系列报告)」에 따르면, 2023년 중국 상주인구 도시화율은 66.16%로 1949년 대비 55.52%p 상승했으며 연평균 0.75%p 증가함.

- 2023년 중국의 도시 상주인구는 9.3억 명에 달함.



▣ 도시화 단계

초기 단계(1949~1957년): 국민 경제 회복과 함께 새로운 산업도시들이 생겨나면서 도시로 인구가 몰리기 시작했고 도시화율은 연평균 0.59%p 상승함.


조정 및 공고화 단계(1958~1978년): 대약진 운동(1958~1962년)과 문화대혁명 (1966~1976년) 시기의 경제적 혼란과 정치적 요인으로 도시화율은 연평균 0.12%p 증가에 그침.


안정적 상승 단계(1979~1995년): 개혁 개방 정책과 함께 농촌 인구가 대거 도시로 이동하면서, 도시화율은 연평균 0.65%p 상승함.


급성장 단계(1996~2011년): 중국 경제의 고속 성장기로 대규모 도시화와 산업화가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도시화율은 연평균 1.42%p 증가하며 빠르게 성장함.


고품질 발전 단계(2012년 이후 현재): 사람을 근본으로 한 신형 도시화가 추진되었고, 연평균 도시화율은 1.19%p 증가함.


▣ 도시화 현황

1948년 중국에는 58개 도시가 있었으며 신중국 성립 이후 많은 현(县)이 도시로 승격됨.

- 1949년 중국에 도시 129개와 건제진(建制镇) 수는 약 2,000개임.

∙ 중국 정부는 진(镇) 가운데 일정 인구 규모 이상이며 경제활동이 활발한 지역을 건제진으로 지정


2023년 도시 수는 694개로 증가하였고 건제진은 21,421개에 이름.

- 2023년 지급 이상 도시 상주인구 수는 6억 7천만 명으로 1949년 대비 16배 증가함.

- 상주인구 500만 명 도시 수는 29개, 1,000만 명 이상 도시 수는 11개에 달함.

∙ 2023년 지급 이상 도시 297개, 현급 도시 397개


1980년대 이후 중국의 도시군(城市群)을 중심으로 도시화 공간 구조가 꾸준히 최적화되고 있으며 특정 지역에 유동인구가 집중되는 경향이 뚜렷해짐.


2020년 중국 11개 주요 도시군 인구수는 6억 3,00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44.6%를 차지함.

-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웨강아오대만구(粤港澳大湾区)와 창장삼각주(长三角) 도시군의 인구는 각각 35%, 12% 증가함.

- 또한 상주인구 1,000만 명 이상의 초대형 도시 수는 6개에서 7개로 증가했고 500만~1,000만 명 규모의 특대형 도시는 10개에서 14개로 증가함.


도시와 농촌 간의 소득 격차도 지속해서 축소됨에 따라 도시와 농촌 주민의 소득 비율은 2012년 2.88에서 2023년 2.39로 개선됨.


<출처: “城镇常住人口已达9.3亿,新型城镇化未来空间和重点划定 | 数说75年” 第一财经. 2024. 10. 3.>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