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략 경쟁 속 미중 협력 증진 : 새로운 실행 방안

  • 등록일

    2025-02-26

“전략 경쟁 속 미중 협력 증진 : 새로운 실행 방안”

“Advancing U.S.-China Coordination amid Strategic Competition: An Emerging Playbook” 


저자

Ryan Hass, Ryan McElveen, Lily McElwee

external_image

발행기관

미국 전략국제연구센터(CSIS)

발행일

2025년 1월 15일

출처

바로가기


2025년 1월 15일, 미국 전략국제연구센터는 “Advancing U.S.-China Coordination amid Strategic Competition: An Emerging Playbook”을 통해 미국과 중국 간의 전략적 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양국이 초국가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할 방안을 모색했다.


미국과 중국은 군사, 경제, 기술, 외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이러한 경쟁 구도는 양국 간 협력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지만, 과거 냉전 시기 미국과 소련이 협력했던 사례를 바탕으로 전략적 경쟁 속에서도 양국이 공통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할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


연구진은 과거 사례 연구, 워크숍, 비공식 대화(Track 2 Dialogue)를 통해 도출된 교훈을 바탕으로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우선, 양국 간 협력은 상호 이익에 기반한 현실적 필요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과거 소련과의 천연두 퇴치, HIV/AIDS 대응, 에볼라 확산 방지 등의 협력 사례는, 협력이 양국의 국내적·지정학적 목표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졌을 때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준다. 현재 기후변화 대응이 대표적인 협력 분야로 지목된다.


또한 비공식 대화가 공식 대화를 보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비공식 대화를 통해 양국은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협력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화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각국 정부와의 연계, 신뢰 구축, 구체적 의제 설정이 필수적이다. 또한, 회의 장소를 중립적이고 접근성이 좋은 곳으로 정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제언한다.


보고서는 미국과 중국이 경쟁과 협력을 병행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통해 공통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양국이 협력하지 못할 경우, 전염병, 기후변화, 식량 안보 등 초국가적 문제가 악화할 가능성이 크며, 이는 세계적인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 이 보고서는 경쟁과 협력의 복합적인 시대에 양국이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협력 모델을 구축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며, 새로운 사고와 접근법을 제안한다.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