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지역] 중국 40대 주요도시 권역별 수출입

  • 등록일

    2017-03-06

중국 40대 주요도시의 수출입 규모를 권역별로 살펴보면 다음 <그림 2>와 같음

 

화북 주요도시의 수출입 총액은 4,586.1억 달러로 주요도시 가운데 17.1%의 비중을 차지함
- 수출입 규모가 큰 베이징과 톈진을 제외한 화북의 스자좡, 타이위안은 각각 121.6억 달러, 106.8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후허하오터는 20.7억 달러로 매우 적은 수준임

동북 주요도시의 수출입 총액은 888.9억 달러로 주요도시의 3.3%에 불과함. 동북의 대외경제 경쟁력은 다른 경제역량에 비해 낮은 수준임
- 다롄의 수출입 규모는 560.3억 달러로 정저우, 난징과 비슷한 수준이며, 선양, 창춘, 하얼빈은 각각 140.8억 달러, 140억 달러, 47.8억 달러임

화동지역의 9개 주요도시 수출입 총액은 10,905.5억 달러로 주요도시의 40.6%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쑤저우의 수출입 규모가 중국에서 4번째로 큼
- 상하이, 쑤저우, 닝보, 칭다오, 항저우, 난징 순임

화남 주요도시는 7,300.3억 달러(27.2%)의 수출입 총액으로 화동지역 다음으로 규모가 큼
- 선전과 광저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1,000억 달러 미만으로 샤먼(832.9억 달러), 푸저우(333.4억 달러), 취안저우(271억 달러), 난닝(56.2억 달러), 하이커우(43.4억 달러) 순임

화중 주요도시의 수출입 총액은 1,298.5억 달러로 주요도시의 4.8%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정저우(570.3억 달러) 외에 우한, 허페이, 창사, 난창은 각각 208.7억 달러, 203.4억 달러, 129.5억 달러, 114.6억 달러로 나타남

서남 주요도시는 1,361.3억 달러의 수출입 규모로 충칭(744.8억 달러), 청두(395.3억 달러), 쿤밍(123.6억 달러), 구이양(91.2억 달러), 라싸(6.4억 달러) 순임

서북 주요도시의 수출입 총액은 508.4억 달러로 주요도시의 1.9%임
- 시안(252.6억 달러), 시닝(114.1억 달러), 우루무치(58.4억 달러), 란저우(50.6억 달러), 인촨(32.7억 달러) 순으로 나타남

<출처: 중국국가통계국 및 각 시 통계공보 자료정리>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