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경제] 중국의 온라인 비즈니스 모델

  • 등록일

    2017-08-07

인터넷기술의 발전으로 소매기업의 온라인 비즈니스가 확대되고 있음
- 중국인터넷정보센터의 통계에 따르면, 2016년 중국 기업 가운데 온라인 매장을 운영 중인 비율은 45.3%로 전년대비 12.7%p 늘어남

소매기업의 디지털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음
- 고객, 주문정보, 상품현황 데이터를 분석해 고객별 맞춤형 상품, 지역별 선호 상품 추천 서비스 등을 통해 영업효율이 향상됨

또한 고객 중심의 체험매장, 온라인 쇼핑몰 개설 등 끊임없이 새로운 소매업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 있음
- 오프라인 체험, 온라인 주문
- 온라인 주문, 매장 상품인도
- 매장 주문, 물류센터 배송

2016년 광군제(11월 11일, 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 기간 중국 온라인 종합 쇼핑몰 티몰(Tmall)은 가전, 의류, 자동차, 인테리어, 뷰티 등의 업종에서 O2O 서비스를 진행함
- 인테리어 시공, 신선식품 등 오프라인 업체 6만 곳을 온라인에 등록·연계함

 

중국인들의 소득 증가로 소비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소매 상품 구조가 변화하고 있음
- 기존의 생필품 위주 상품에서 여유로운 삶을 즐기기 위한 상품으로 관심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

부동산시장의 훈풍과 거주환경 개선을 위한 인테리어상품의 빠른 성장세
- 중국국가통계국은 2016년 규모 이상 기업의 건축 및 인테리어 자재, 가구의 판매율이 각각 14%, 12.7% 증가했다고 발표함

건강에 대한 인식 변화와 삶의 질 개선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건강·레저 상품의 판매가 늘고 있음

다양한 기능과 소비체험에 기반을 둔 스마트기기 열풍
- 2016년 중국의 스마트폰 판매량은 5.2억 대로 전년대비 14% 증가했으며, 광군제 기간 중국 최대 온라인 쇼핑 플랫폼 알리바바의 스마트기기 판매 비중은 7.4%로 집계됨

환경보호 의식 강화로 친환경, 에너지절약, 환경보호 상품이 소매시장에 새롭게 등장함
- 무독성 친환경 페인트, 유기농 올리브유, 절수형 세탁기의 판매율이 각각 244%, 228%, 126% 증가함

 

<출처: 商务部(2017), 『中国零售行业发展报告』>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