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중국 100대 공업 지역 특징
- 등록일
2019-01-14
첨부파일
■ 산업구조 전환 필요
2018년 중국 100대 공업 지역(현·시)의 GDP 내 공업 총생산 비중은 49.1%로 전년대비 1.2%p 하락했음
- 이는 2차 산업 비중이 높은 산둥의 지모(即墨)와 푸젠의 창러(长乐)가 현에서 구(区)로 행정구역이 승격된 이유도 있지만, 100대 현 중 약 80%가 이미 공업화의 후기 단계에 접어들었기 때문임
최근 중국의 산업구조는 전략적 신흥산업과 하이테크 산업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음
- 공업 현 상위 4개인 장인시, 쿤산시, 장자강시, 창수시의 신흥산업의 공업 생산 비중은 이미 40% 이상으로, 다른 공업 지역의 빠른 산업구조 업그레이드가 필요함
■ 풍부한 기업 자원
2018년 100대 공업 지역(현·시)의 규모 이상 공업 기업은 총 5.5만 개로 전국의 14.5% 비중을 차지함
- 그 중 규모 이상 공업기업이 1,000개 이상되는 지역은 13곳으로 모두 저장, 장쑤, 푸젠에 위치해 있으며, 민영기업이 발달해 있음
- 반면, 네이멍구, 구이저우, 신장은 석탄, 석유화학, 철강 등 중공업 중심의 공업이 발달되어 있으며, 규모 이상 공업기업이 100개 이하임
100대 공업 지역(현·시) 중 60곳은 223개의 공업 상장회사를 보유하고 있음
- 이 중 92%가 동부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기·기계, PC, 자동차 등 장비제조업 기업이 가장 많음
■ 지역 불균형 심화
공업총생산이 500억 위안 이상인 18개 지역 중 12개가 동부에 위치하고 중부에 4개, 서부에 2개이며, 공업총생산이 1,000억 위안이 넘는 현과 시 5곳은 모두 동부지역임
창장경제벨트와 주삼각도시군를 중심으로 공업이 발달한 중국 남부지역의 경쟁력은 북부보다 높으며, 인프라와 공업 환경이 이미 조성된 발달 지역의 강세와 지역 불균형의 심화는 지속할 것으로 보임
<출처: 中国信息通信研究院(2018), 《中国工业百强县(市),百强区发展报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