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경제] ‘코로나19’ 중국 산업별 영향

  • 등록일

    2020-03-30

2020년 2월 16일 중국의 시장조사업체 아이리서치(iResearch)는 「2020년 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중국의 새로운 경제 산업 투자연구 보고서(疫情下中国新经济产业投资研究报告)」를 발행

코로나19 확산 기간 중 온라인과 오프라인 산업의 변화가 크게 일어났으며, 비즈니스 초기 단계인 온라인 교육, 재택근무 관련 소프트웨어, 신선 제품 전자상거래, 인터넷 의료 산업의 사용자 급증, 시스템 수준 향상, 투자 가능성 증가, 업종 구조 개선 등의 변화를 맞이함

반면 오프라인 중심인 여행, 숙박, 요식업은 코로나19로 인해 매출이 급감하고 이용자가 크게 줄어 악영향을 받음.

자택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진 탓에 동영상 플랫폼, 숏비디오, 게임, 배달업은 호황을 맞음.

27311.jpg

▣ 온라인 교육

중국 교육부는 코로나19 확산으로 개학일을 연기했지만, “수업은 멈춰도 배움은 멈추지 않는다.(停课不停教)”는 방침을 내놓으며 온라인교육을 지시함.

중국의 80여 개 온라인교육기업은 전국 초·중·고등학생에게 무료로 온라인 강의를 제공하여 온라인교육 APP 사용자 급증

- 중국의 대형 온라인교육 기업인 쉐얼쓰왕샤오(学而思网校)와 위안푸다오(猿辅导)의 2020년 춘절 기간 사용 증가율이 각각 216.8%, 163%로 크게 증가함.

27312.jpg

쉐얼쓰왕샤오의 코로나19 확산 전후 사용자 거주지역을 비교해보면, 코로나19 확산 전 대도시 사용 비중은 68.7%, 중소도시는 31.3%였으나, 확산 후 중소도시 사용 비중이 44%로 12.7%p 증가함.

- 코로나19 확산으로 온라인교육 산업은 중소도시로 시장이 확대됨.

27313.jpg

▣ 재택근무

2020년 2월 2일 이후 2주간 중국의 재택근무 관련 APP 사용 증가율은 72.2%로 2019년 같은 기간(5.8%) 대비 높은 수준임.

코로나19 확산으로 중국은 춘절 연휴 기간은 연장했고, 연장이 끝난 후에도 도시 간 이동 후 자택 격리기간이 의무화되면서 기업은 재택근무 체제에 돌입

재택근무 APP의 사용 규모는 1월 27일부터 3월 1일까지 빠르게 증가함.

중국의 재택근무 관련 소프트웨어는 알리바바의 딩딩(钉钉), 텐센트의 텐센트회의와 기업위챗 등으로 코로나19 확산 기간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

- 주요 기능은 화상회의, 온라인 문서 작업 공유 등임.

2018년 중국의 재택근무 관련 소프트웨어 사용률은 11% 이하로 미국(30% 이상)에 비해 낮음.

27314.jpg

<출처>

아이리서치(2020), 「2020年疫情下中国新经济产业投资研究报告」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