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연도별 주제 특징
- 등록일
2021-05-17
첨부파일
연도별 최신중국통향의 특징을 살펴보면, 2014년과 2015년은 중국인 관광객의 급격한 증가로 관광 관련 주제가 특히 많은 관심을 받았음.
- 관광객 규모, 지역별 관광객 규모, 여행 유형, 관광산업 전망, 소비, 해외여행 만족도, FIT(개별자유여행객) 등 다양한 관광 주제가 주목을 받음.
- 그러나 2016년 사드배치 문제로 한·중 관계가 급격하게 악화하여, 이후 중국의 한국 관광 자제, 무역 갈등이 시작됨.
∙ 2019년 게시한 ‘중국인 관광객 국·내외 인기 여행지’는 사드 이후 중국인에게 인기 있는 해외여행 국가와 도시의 내용을 담았는데, 인기 여행 국가는 일본, 태국, 싱가포르 순으로 나타났고, 한국은 11위로 큰 하락폭을 보임.
2017년은 중국의 지역 관련 주제가 조회수 상위를 기록함.
- 중국 40대 주요 도시의 인구, 면적, GRDP, 주민 소득과 소비, 수출입, 자유무역시험구와 같은 지역 주제와 중국 대졸자 평균 임금, 중국 인구와 인구구조 등 중국 사회 관련 주제가 높은 조회수를 기록
2018년 높은 조회수를 보인 주제는 베이징의 인구 노령화, 중국 경제 규모(GDP), 중국의 보건 산업과 함께 중국의 빠른 기술 발전으로 빅데이터 산업 발전 계획, 고속철도 발전 계획, 특허 출원 현황 등이 있음.
2020년 가장 높은 조회수를 보인 주제는 ‘세계도시순위’였으나, 전 세계를 팬데믹 위기에 놓이게 한 코로나19를 빠트릴 수 없음.
-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 과정과 국가별 대응, 중국의 산업별 영향, 대응 정책 등이 많은 주목을 받음.
∙ 2020년 2월 9일 기준 총 127개 국가가 신종 코로나로 인한 입국 관리 제한 조치를 시행했고, 중국 정부는 2020년 1월 25일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중앙 코로나19 대응팀’을 구성하고 소비 촉진, 산업지원 등의 정책을 발표했음.
∙ 코로나19 확산 기간 중 온라인과 오프라인 산업의 큰 변화고 온라인 교육, 재택근무 관련 소프트웨어, 신선 제품 전자상거래, 인터넷 의료 산업의 사용자 급증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