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특집] 주제 분야별 조회수 순위

  • 등록일

    2021-05-17

최신중국동향은 2012년부터 경제·산업·사회·관광·지역·정치·기타로 주제를 분류하였고, 주제 분야를 경제·산업 / 사회·관광 / 지역으로 나누어 많은 관심을 받은 게시글을 살펴봄.


▣ 경제·산업

최신중국동향이 다룬 경제·산업 분야 중 가장 조회수가 높았던 주제는 ‘중국 500대 민영기업 순위’로 나타남.

- 중국 300대 민영기업의 연매출, 영업수익, 자산총액과 영업수익 기준 상위 20개 기업에 관한 내용을 포함

- 영업수익 기준 1위 중국 민영기업은 화웨이가 차지했고, 쑤닝, 정웨이, 헝리 순임.


두 번째로 조회수가 높은 ‘한국기업의 중국 지역별 진출 현황’은 2016년 1월 4일 게시한 글로 2014년 KOTRA의 『해외진출 한국기업 디렉토리(하): 중국편(2014)』를 활용하여 분석한 것임.

- 중국 31개 성을 권역으로 나누어 한국기업의 진출현황을 살펴보면 화동이 54.9%에 달하고, 성별로는 상하이 진출기업이 915개, 산둥성 837개로 두 지역이 전체의 절반 가까운 비중을 차지함.


세 번째로 조회수가 높은 ‘중국 지역 경제 경쟁력, 장쑤성 1위’는 2014년 3월 17일 게시글로 중국 31개 성을 경제실질경쟁력, 경제구조경쟁력, 대외경쟁력을 기준으로 분석한 「성역(城域)경쟁력보고서」의 내용을 다룸.

-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경제종합경쟁력 TOP10은 장쑤, 광둥, 베이징, 상하이, 저장, 산둥, 톈진, 랴오닝, 푸젠, 쓰촨이며, 중국 정부는 지역 격차를 줄이려 노력하지만, 여전히 경제발전의 불균형 현상이 뚜렷하다는 내용을 담고 있음.


이 밖에도 중국 지역별 최저임금, 중국 명품소비, 중국 GDP 현황, IFEZ-웨이하이 한중FTA 시범구 개요 등의 주제가 조회수 상위에 오름.


▣ 사회·관광

관광·사회 분야의 조회수 상위 게시글은 최신중국동향 전체 조회수의 1, 2, 3위와 같이 2014년 방한 중국인 관광객과 관광산업에 대한 글임.


4위는 ‘2013년 중국대학 순위’로 「13년 중국대학평가연구보고」에 따르면 600대 중국 대학 중 베이징대학이 6년 연속 1위에 랭크되었으며 뒤를 이어 2위 칭화대학(清华大学), 3위 푸단대학(复旦大学),4위 저장대학(浙江大学), 5위 상하이교통대학(上海交通大学)이 각각 랭크됨.


5위를 차지한 사회 분야의 2013년 ‘중국인이 관심 있는 중대 사회문제 및 사건’은 중국사회과학원(中国社会科学院) 중국민정조사연구실에서 실시한 조사 내용임. 

- 2013년 가장 주목받고 있는 중국의 사회문제는 식품 안전(70.4%)과 대기오염(67.9%)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중요한 사건으로는 중국 지도자 선출하는 양회가 56%의 선택을 받았음.


▣ 지역

중국 각 지역의 정보와 중국 주요 도시에 관한 내용을 다룬 지역의 조회수 1위는 ‘중국 40대 주요 도시 인구’로 2015년 기준 중국의 40대 도시의 인구수와 권역별 인구 비중의 내용을 담음.

- 2015년 중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는 충칭으로 3,371.8만 명이 거주하고 있고, 충칭에 이어 상하이, 베이징, 청두, 쑤저우, 스자좡, 톈진 순으로 인구 1,000만 명이 넘는 도시는 총 7곳에 달함.


두 번째로 조회수가 높은 지역 관련 주제는 ‘중국 10대 도시 GDP 순위 변동’으로 2020년 3분기 중국 도시 GDP 순위와 상위 10개 도시의 특징을 포함함.

- 중국의 도시 GDP 규모는 상하이, 베이징, 선전, 충칭, 광저우 순으로 상하이와 베이징의 경제력은 다른 도시들을 월등히 앞서고, 충칭의 약진으로 광저우를 앞섰으며, 남북지역의 경제발전 격차가 심화함.


이외에도 징진지 일체화, 베이징 인구, 웨이하이 경제개발구, 산둥성 철도 건설 등의 주제가 많은 관심을 받았음.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