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중국 문화·관광산업의 10년간 성과
- 등록일
2022-09-13
2022년 8월 24일 중국 문화관광부 산업발전부(文化和旅游部产业发展司)는 기자회견을 통해 중국 문화·관광산업의 지난 10년간 성과를 발표함.
▣ 산업 규모 및 시장 확대
2019년 중국 문화산업 부가가치는 4조 4,363억 위안, 관광산업 부가가치는 4조 4,989억 위안으로 같은 기간 GDP 비중은 각각 4.5%, 4.56%에 달함.
지난 10년, 전국 규모 이상 문화기업 수는 3만 6,000개에서 6만 5,000개로 증가하였고, 연간 영업이익은 5조 6,000억 위안에서 11조 9,000억 위안으로 증가함.
2021년 말 기준, 전국 여행사 수는 4만 2,000개, A급 관광지는 1만 4,000개, 특급호텔 수는 8,771개임.
▣ 풍부한 제품 공급 및 산업융합을 통한 소비 잠재력 확대
문화관광산업과 5G, 빅데이터, AR/VR, 인공지능, 초고화질 등 디지털 기술 접목으로 온라인 방송, 디지털 예술, 몰입식 체험 등 새로운 형태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음.
‘대어해당(大鱼海棠, 애니메이션 영화), ‘우상춘(舞上春, 중국 오페라 무용극)’등과 같은 중국 문화의 특색이 뚜렷한 디지털 문화 작품이 지속해서 생산됨.
문화와 관광산업의 융합, 상품융합, 시장융합으로 공연예술관광, 홍색관광(공산당 혁명지 유적지 관광), 향촌관광, 문화재 관광 수요가 확대됨.
국가 문화·관광 소비 시범도시 15개 지정, 국가 문화·관광 소비 시험도시 115개 지정, 국가 야간문화·관광소비 밀집지역 243개를 조성함.
▣ 산업 투자·융자 체계보완 및 대외무역 성과 뚜렷
산업 투자 주체가 다양해지고 투자 규모도 지속해서 확대되고 있으며, 정책적·개발적 금융지원도 지속해서 강화됨.
정부와 사회자본의 합작모델, 지방정부 특별채권 등 문화·관광 분야와 정부 정책이 효과적으로 응용·접목되고 있음.
2021년 처음으로 중국의 대외문화 교역액이 2,000억 달러를 돌파함.
- 문화산업, 관광산업박람회 등의 플랫폼 확대와 대외문화무역기지 건설의 지속적 추진으로 우수한 문화관광기업의 해외진출이 증가하고 있음.
▣ 기업구제 정책 강화 및 코로나19에 따른 지원정책
문화관광부는 관련 부처와 함께 「서비스업 분야 애로 업종의 회복발전 촉진에 관한 몇 가지 정책(关于促进服务业领域困难行业恢复发展的若干政策)」 및 관련 문화 관광업종의 금융지원 회복정책을 시행함.
- 동시에 감세 및 고용안정 등을 위한 정책을 추진함.
코로나19 예방 및 통제에 근거해, 문화·관광 장소 개방 정책을 조정하고, 성(省) 간 여행 자제를 현(县)으로 완화하여 문화관광 시장의 안전하고 질서 있는 회복을 촉진하고자 함.
<출처: “文旅部:2021年我国对外文化贸易额首次突破2000亿美元” 第一财经. 2022.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