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소비 트렌드 – 이성적·친환경 소비
- 등록일
2023-03-27
첨부파일
▣ 이성적 소비
코로나19 이후 사용 빈도와 수요가 감소하고 경제적인 압박으로 생활의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소비자의 소비 개념과 소비 행동이 실용적이고 합리적으로 변화함.
- 소비자는 충동 소비를 줄이고 제품의 품질을 중요시하고, 가성비 높은 제품을 추구함.
- 또한 다양한 할인 행사를 활용하여 상품을 구매하려고 하고, 구매에 있어 신중한 태도로 조사와 비교를 거쳐 제품을 선택하며 맹목적인 유행에 따르기를 거부함.
이러한 배경으로 자국 브랜드의 가성비 높은 제품과 사용 습관의 높은 이해도를 갖춘 제품이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며 실용적인 선택으로 이어짐.
▣ 친환경 제품 소비
중국인의 소비수준 향상과 상품 및 방식의 다양화로 소비자는 물질적인 욕구뿐만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만족과 즐거움을 추구함.
최근 '책임 있는 소비로 지구와 인류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줄인다'라는 소비 관념이 확산하고 있음.
- 응답자의 33%는 이성적인 소비관에서 수요와 가성비 다음으로 ‘환경과 사회에 책임 있는 소비’를 선택하며 소비자의 두드러진 사회적 책임 의식을 반영함.
중국 소비자는 사회적 책임을 위해 56%의 소비자는 10% 이내의 녹색소비 프리미엄을 낼 의향이 있다고 응답함.
- 응답자의 34%는 5% 이내의 녹색소비 프리미엄을 낼 의향이 있고, 22%는 5~10% 이내, 9%는 10~20%, 2%는 20% 이상을 낼 의향이 있다고 답함.
∙ 녹색소비 프리미엄을 낼 의향이 없다고 답한 응답자는 34%임.
품목별로는 영양 및 건강 관련 제품에는 74%의 소비자가 녹색소비 프리미엄을 낼 의향이 있다고 답했고, 뷰티 70%, 개인용품 70%, 식음료 69% 순으로 나타남.
- 식음료 구매에 있어서 39%는 친환경을 구매결정 요인 TOP 3으로 고려함.
<출처: 딜로이트(2023). 「2023中国消费者洞察与市场展望白皮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