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17] 인천시 보건의료시설 서비스 현황
- 등록일
2024-08-30
인천연구원 도시정보센터 데이터 브리프
2024-07
Vol.17
인천시 보건의료시설 서비스 현황
인천의 지역별 보건의료시설 서비스 현황을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해서 분석
"인천시 보건의료시설의 수는 총 3,778개소(병의원 3,716개소, 보건소 62개소임)"
행정동별 평균 24개소의 보건의료시설이 입지
보건의료시설이 가장 많은 지역은 '구월3동' 155개소 이고, 다음으로 '부평1동' 140개소, '송도1동' 95개소 순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24년 6월 기준 병·의원 현황 자료를 활용
행정동별 보건의료시설 분포 현황
*보건의료시설 : 종합병원, 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요양병원, 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조산원,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동구, 미추홀구, 남동구의 보건의료 서비스 접근성은 양호
반대로 강화군, 중구(특히 영종지역), 서구, 계양구의 보건의료 서비스 접근성은 상대적으로 열악"
그래프.
지역별 보건의료 서비스권 현황 - 격자별 거주인구 1인당 의사수
주거지역의 1인당 의사수는 원도심 0.75명 > 경제자유구역 및 신도시 0.34명 > 강화군 0.08명 임
신도시(송도, 청라, 검단)와 영종, 강화, 옹진지역의 보건의료 서비스 개선 필요
2024-07
Vol.17
인천시 보건의료시설 서비스 현황
인천의 지역별 보건의료시설 서비스 현황을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해서 분석
"인천시 보건의료시설의 수는 총 3,778개소(병의원 3,716개소, 보건소 62개소임)"
행정동별 평균 24개소의 보건의료시설이 입지
보건의료시설이 가장 많은 지역은 '구월3동' 155개소 이고, 다음으로 '부평1동' 140개소, '송도1동' 95개소 순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24년 6월 기준 병·의원 현황 자료를 활용
행정동별 보건의료시설 분포 현황
*보건의료시설 : 종합병원, 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요양병원, 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조산원,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동구, 미추홀구, 남동구의 보건의료 서비스 접근성은 양호
반대로 강화군, 중구(특히 영종지역), 서구, 계양구의 보건의료 서비스 접근성은 상대적으로 열악"
행정구/군 | 격자별 평균 의사수 | 격자별 평균 병상수 | 주거지역 1인당 의사수 및 병상수(중앙값) | |
---|---|---|---|---|
1인당 의사수 | 1인당 병상수 | |||
중구 | 92 | 2,456 | 0.2 | 1.0 |
동구 | 3,692 | 21,829 | 1.6 | 8.8 |
연수구 | 2,260 | 11,961 | 0.6 | 3.5 |
남동구 | 3,607 | 20,038 | 0.7 | 4.1 |
부평구 | 4,356 | 24,396 | 0.7 | 3.9 |
계양구 | 2,012 | 11,411 | 0.5 | 2.6 |
서구 | 1,738 | 10,341 | 0.4 | 2.3 |
미추홀구 | 4,890 | 26,918 | 0.9 | 5.2 |
강화군 | 34 | 308 | 0.1 | 0.7 |
*보건의료시설 서비스권은 각 보건 의료시설로부터 15분 내 도보 + 대중교통으로 접근 가능한 범위염, 각 시설로부터 가장 가까운 정류장까지의 평균거리(도보, 약 83m)와 남은 시간동안 40km/h로 이동가능한 범위(9,170m)를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해 도출
*인천 주변(서울, 김포, 부천 등)의 시설은 분석에 반영하지 않았음. 강화군 서도면과 옹진군은 분석방법의 한계(도서지역)로 제외
그래프.
지역별 보건의료 서비스권 현황 - 격자별 거주인구 1인당 의사수
주거지역의 1인당 의사수는 원도심 0.75명 > 경제자유구역 및 신도시 0.34명 > 강화군 0.08명 임
신도시(송도, 청라, 검단)와 영종, 강화, 옹진지역의 보건의료 서비스 개선 필요
보안문자확인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직원 이메일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