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업지역 유형별 관리와 정비 방안 제시
- 보도일
2023-02-10
준공업지역 유형별 관리와 정비 방안 제시
- 인천연구원, "인천시 준공업지역 토지이용 실태와 관리 방안" 연구 결과 -
○ 인천연구원(원장 이용식)은 2022년 기획연구과제로 수행한 “인천시 준공업지역 토지이용 실태와 관리 방안”
결과보고서를 발표했다.
○ 준공업지역은 용도지역 중 하나로 ‘경공업 그 밖의 공업을 수용하되 주거·상업기능 및 업무기능의 보완이
필요한 지역’인데, 인천시에서 준공업지역은 경공업을 수용하기 위한 공업지역뿐만 아니라 항만과 항만 배후
부지, 산업단지 지원부지, 기반시설 및 공공시설 부지 등 다양한 목적과 형태로 총 28㎢(2021.04 기준)가
지정되어 있다.
○ 이 연구는 다양한 형태를 보이는 준공업지역을 단독 산업단지, 일반공업지역 인접부지, 첨단산업단지, 항만
배후부지, 산업단지 지원부지, 항만, 공공시설, 도로 등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 토지이용과 산업별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관리 방안을 도출하였다.
○ 분석 결과, 준공업지역에서 관리에 특히 주목해야 할 지역은 물리적으로 노후화된 ‘단독산단’ 그리고 공업 외
주거와 다른 용도의 혼재율이 높은 ‘일반공업지역 인접부지’였으며, 내항·남항 배후부지도 기반시설과 노후도
측면에서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준공업지역 관리 측면에서 유형에 따라 ①물리적 환경 정비와 용도 및 기능 관리를 구분해 관리해야 하고,
②개별 사안에 따라 공업지역이 조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체 공간구조 개편 전략에서 공업지역의 해제나
지정이 필요하며, ③주거와 공업 혼재구역은 해제가 아니라 구역 내에서 용도가 재배치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 특히 인천시가 추진 중인 제물포 르네상스와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및 지하화 사업, 경인철도 지하화 사업 등
대규모 중점 사업이 주요 준공업지역을 포함하고 있어, 이들 사업과 연계하여 준공업지역을 관리할 수 있다.
○ 인천연구원 안내영 연구위원은 “준공업지역은 공업기능뿐만 아니라 다른 용도를 수용하는 점이지대 성격을
갖고 있어 다양한 유형의 토지이용이 나타난다. 관리하지 않으면 여러 용도가 혼합된 혼재 구역일 뿐이지만,
잘 관리하면 다기능을 수행하는 복합용도구역이 가능한 지역으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