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1. 홈
  2. 미디어
  3. 보도자료

백중사리 앞두고 해안침수 예방 공동세미나

  • 보도일

    2025-08-09

백중사리 앞두고 해안침수 예방 공동세미나

- 인천연구원·국립재난연구원·국립해양조사원·충남연구원 공동 개최 -



○ 인천연구원(원장 박호군)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원장 오금호), 국립해양조사원(원장 정규삼), 충남연구원
    (원장 전희경) 등과 8월 8일(금) 프레이저 플레이스 센트럴 서울 호텔에서 <백중사리 대비 해안침수 예방
    공동세미나>를 개최했다.


○ 백중사리는 연중 바닷물 높낮이(조차)가 크게 나는 때로, 올해 백중사리(9.8~9.11)를 한 달여 앞두고 해안
    침수 위험을 환기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 이 세미나에서 기조강연은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강석구 책임연구원이 “한반도 주변 조석 특성”을 주제로
    진행됐다.


○ 이어, 제1세션에서는 ▴조석 관측 및 조위 정보 서비스(국립해양조사원 복진광 사무관), ▴해안침수 대응을
    위한 재해지도(국립해양조사원 이화영 연구사), ▴백중사리 피해 및 현장조사 고도화 방안(국립재난안전
    연구원 박형성 연구사) 등 백중사리 관련 기관별 주요 업무 소개가 있었다.


○ 제2세션에서는 ▴대조기 우리나라 항만시설 방재 정책(해양수산부 문승록 서기관), ▴인천 옹진군 대조기
    침수 및 대응 사례(인천연구원 배덕상 연구위원), ▴충남 보령시 해수 범람 현황 및 대응 사례(충남연구원
    윤종주 연구위원) 등 지역별 피해 및 대응 사례를 공유했다.


○ 오금호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은 “우리나라의 조석 특성뿐만 아니라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등 복합
    적인 위험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해안침수에 선제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 박호군 인천연구원장은 “해안침수 피해 저감을 위해서는 단순한 시설 확충을 넘어 예측-대비-대응-복구
    전반에 대한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라며, “중앙, 지방, 민간 간 긴밀한 협력체계와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솔루션이 병행되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추세를 고려할 때,
    적응적 관리전략과 중장기적 관점의 연안지역 공간계획을 통합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 담당자

    이충석

  • 전화번호

    032-260-2624

  • 담당자 이충석 이메일 확인하기

    이메일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에서 제공된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가하기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