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보고서 도시계획 2023
인천 내항 배후산업공간의 역사적 장소적 가치해석
■ 연구 개요 산업유산에 내재한 산업역사의 도출과 현재 산업생태계의 시간적・공간적 분석을 통해 제물포르네상스 대상지가 산업 측면에서 가지는 역사적・장소적 가치를 발굴하고자 함 이를 바탕으로 산업공간의 재창조 방안을 모색하고, 제물포르네상스 프로젝트의 차별화된 장소적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고자 함
홈 > 연구원 간행물 >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서 교통물류 2023
전기차 전용주차구역 및 충전시설 의무설치 예외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 연구 개요 이 연구는 기축 아파트 단지 내 전기차 전용주차구역 및 충전시설 의무설치 제도의 의무설치 예외기준을 형평성, 객관성 측면에서 보완하기 위한 예외시설 요건에 관해 논의하고 주차 여건에 의한 기준이 가장 적합한 요건임을 제안함
홈 > 연구원 간행물 >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서 도시계획 2023
인천시 역사문화자원 보전형 주거지정비 모델 연구 : 중동구를 중심으로
■ 연구 개요 인천 내항이 위치한 중・동구 일대는 개항 이후로 공공, 업무, 상업 등 각종 도시기능이 형성되고 집중했던 도심지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근대 역사문화자원이 다수 분포하게 됨. 하지만 1990년대 이후 분산정책에 따른 외곽지역의 신도시 개발로 인해 인구감소와 함께 도시기능은 점차 쇠퇴하였으며, 쇠퇴한 원도심 노후주거지를 개선하려는 정비사업과 재생사업이 지속하여 진행하고 있음 이러한 노후 시가지의 물리적 환경 정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역사문화자원의 멸실과 훼손 문제가 발생하면서 고유 자산의 보전과 활용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중・동구 역사문화자원의 보전・활용을 유도하면서, 물리적으로 쇠퇴한 저층주거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홈 > 연구원 간행물 > 연구보고서
-
최근 인천경제 2024년 11월호
Ⅰ. 지역경제 주요 품목 중심으로 제조업 생산과 수출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으나, 생산자제품 출하 및 재고지수의 소폭 하락, 건설투자 및 내수 경기 부진 지속으로 경기회복세 제약 (기업경기) 제조업 생산 확대 등으로 종합지수가 상승했으나, 출하 및 재고 등의 부진으로 경기 개선 제약 (투 자) 전국 기계류 투자 확대로 설비투자가 증가했으나, 인천 건설수주액 등 축소로 건설투자 부진 (수 출 입) 주요 수출품 중심의 수출 확대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여 양호한 흐름을 유지 (기업금융) 대기업 대출잔액의 확대와 중소기업 대출잔액의 증가 폭 유지로 기업대출 증가세 지속 (고 용) 임금근로자 확대를 중심으로 고용률이 소폭 증가했고, 실업자 증가로 실업률도 소폭 상승 Ⅱ. 시민경제 소비자심리지수가 개선되고, 소매업을 제외한 음식·숙박업, 서비스업 등 소비가 소폭 증가하였으나, 낮은 소비자물가지수, 부동산 시장 위축 등 내수 시장 둔화 신호로 부진한 경기회복 지속 (소 비) 소매업을 제외한 음식·숙박업, 서비스업 지수의 증가로 인천소비지수 상승세 전환 (물 가) 상품가격 상승 폭 축소와 공업제품 가격 하락으로 물가상승률이 전국 수준으로 크게 하락 (가계금융) 신규대출 축소에도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이 확대, 연체율은 소폭 하락하여 횡보세 유지 (소상공인) 소상공인 체감 BSI 증가세는 유지되나, 명절 효과가 사라지면서 전통시장 BSI는 감소 전환 (부 동 산) 매매 가격지수 및 수급동향 상승세는 둔화되었으나 전세 가격지수 및 수급동향 상승세는 지속
홈 > 연구원 간행물 > 인천경제동향 > 최근 인천경제 -
체계화되어 가는 중국의 대외정책
최근 중국은 글로벌 리더가 되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대외정책을 추진 중 - ‘공동운명체’라는 개념을 내세워 주로 개발도상국과의 협력 강화 중국의 1기 대외정책은 진영구축을 위한 합종연횡식 정책 -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 유럽연합(EU)에 대응할 만한 브릭스(BRICS)나 상하이협력기구(CSO) 등의 협력체 구축 중국의 2기 대외정책은 일대일로 구상과 같이 경제적 영향력 강화 - 시진핑 주석 출범 이후 공급과잉이라는 국내문제 해결과 경제적 영향력 강화라는 대외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대일로 구상을 추진하고 RCEP을 통하여 다자자유무역 리더십 구축 중국의 3기 대외정책은 G2로서 미국 주도의 질서에 대응할 글로벌 리더십 구축 - 글로벌 개발·안보·문명 구상을 통하여 ‘공동운명체’를 주도 중국의 글로벌 리더십 구축에 가장 큰 도전과제는 중국의 정치체제와 전략경쟁 <목 차> 1. 서론 2. 중국의 대외정책 1기: 정치적 진영구축 3. 중국의 대외정책 2기: 경제적 영향력 강화 4. 중국의 대외정책 3기: 글로벌 리더십 구축 5. 중국 대외정책의 도전과제
홈 > 연구원 간행물 > 한중DB > 인차이나브리프 -
[지역] 2023년 산둥성 GDP 규모
중국 산둥성은 인천과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지역으로, 2004년 2월 16일에 우호 결연을 체결하였으며, 산둥성의 칭다오와 옌타이와도 각각 1995년과 2007년에 우호 결연을 맺어 긴밀한 협력 관계를 이어오고 있음. 2024년 3월 3일 산둥성통계국(山 省 局)은 「2023년 산둥성 국민경제와 사회발전 통계 공보(2023年山 省 民 和社 展 公 )」를 발표함. 공보에 따르면 2023년 산둥성의 GDP는 9조 2,068.7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6.0% 증가했음. - 산업구조별 생산 규모는 1차 산업이 6,506.2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4.5% 감소했고, 2차 산업 3조 5,987.9억 위안으로 6.5% 증가, 3차 산업 4조 9,574.6억 위안으로 5.8% 증가했음. - 산업구조 비중은 7.1 : 39.1 : 53.8로 3차 산업 비중이 가장 높음. 신산업과 신형 비즈니스 모델의 빠른 성장이 나타나고 있음. 일정 규모 이상의 산업 중 첨단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5.6% 증가하며 전체 지정 규모 이상의 산업 부가가치 중 9.7%를 차지했음. - 장비 제조업 부가가치는 9.7% 증가하여 22.8% 비중을 기록했고, 산업용 로봇 생산량은 1만 3,184대로 9.7% 증가, 태양전지 생산량은 45만 5,000kW로 5.8% 증가했음. - 현대 서비스 산업의 부가가치는 2조 5,268.5억 위안으로 5.4% 증가했음. - 전자상거래 거래액은 3조 3,290.3억 위안으로 6.8% 증가했음. 산둥성 지역 균형발전이 안정적으로 추진되고 있음. - 성회(省 ), 자오둥( ), 루난( 南) 3대 경제권의 지역총생산은 각각 3조 4,392.6억 위안, 3조 9,433.2억 위안, 1조 8,242.9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각각 6.0%, 5.9%, 6.4% 증가했음. - 산둥성 경제 성장 기여율은 각각 37.3%, 41.4%, 21.3%로 나타났음. 산둥의 최대 지역인 지난, 칭다오, 옌타이의 지역총생산 합산 규모는 3조 8,680.2억 위안으로 성 전체 경제 성장 기여율의 42.0%를 차지했음. <출처: “2023年山 省 民 和社 展 公 ” 山 省 局. 2024. 3. 3.>
홈 > 연구원 간행물 > 한중DB > 최신중국동향
-
제5회 동아시아 문호도시 정책포럼
■ 행사 개요 ○ 일 시 : 2021 년 9 월 7 일 ( 화 ) 10:00~18:00 ○ 장 소 : 중국 톈진 [ 화상회의 (ZOOM)] ○ 주 제 : “ 동북아 수도권 도시군의 협력과 발전 ” ○ 주 최 : 인천연구원 , 톈진사회과학원 , 톈진시인민정부 외사판공실 ○ 주 관 : 톈진사회과학원 ( 동북아지역협력연구센터 , 일본연구소 , 동북아연구소 )
홈 > 연구원 간행물 > 행사자료집 -
제2회 한국해양안전레저학회 인천 학술대회
■ 행사 개요 ○ 일 시 : 2021 년 7 월 20 일 ( 화 ) 14:00~17:30 ○ 장 소 : 비대면 화상회의 ○ 주 제 : “ 국가 해양력 강화를 위한 해양경찰의 위상 정립 및 해양레저 발전방안 ” ○ 주 최 : ( 사 ) 한국해양안전레저학회 ○ 주 관 : ( 사 ) 한국수상레저안전협회 , 인천연구원 ○ 후 원 : 해양경찰청 , 인천광역시
홈 > 연구원 간행물 > 행사자료집 -
2021년 제2차 인천기후환경포럼
■ 행사 개요 ○ 일 시 : 2021 년 07 월 07 일 ( 수 ) 15:30~18:00 ○ 주 제 : “ 인천광역시 GCF 협력방안 ” ○ 장 소 : 화상회의 (ZOOM) ○ 주 최 : 인천기후환경연구센터
홈 > 연구원 간행물 > 행사자료집
-
[채용공고2024-17호]환경정책분야 초빙연구원 (육아휴직 대체인력) 채용공고
인천연구원 공고 제2024 - 17호 환경정책분야 초빙연구원 (육아휴직 대체인력) 채용공고 인천연구원에서는 인천시정의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 연구를 추진하고자 아래와 같이 환경정책분야 인재를 초빙하고자 합니다. ■ 채용분야: 환경정책분야 ■ 모집인원: 1명 ■ 해당직종: 초빙연구원 ■ 담당업무: 환경정책 및 환경관리 연구지원 ■ 근 무 지: 인천광역시 서구 심곡동 ■접수및 안내 : 채용 전용 홈페이지 (https://recruit.incruit.com/incheon/job/2404080011) 2024.4.9 재단법인 인천연구원장
홈 > 소통참여 > 채용 정보 > 채용 공고 -
[채용공고2024-16호]인천탄소중립연구・지원센터 초빙연구원 채용공고
인천연구원 공고 제2024 - 16호 인천탄소중립연구・지원센터 초빙연구원 채용공고 인천연구원에서는 인천시정의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 연구를 추진하고자 아래와 같이 탄소중립, 기후위기 대응 및 환경분야 인재를 초빙하고자 합니다. ■ 채용분야: 지자체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수립 및 탄소중립 사업 추진 ■ 모집인원: 1명 ■ 해당직종: 초빙연구원 ■ 담당업무: 기초지자체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수립지원, 광역 탄소중립지원센터 업무 수행 ■ 근 무 지: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접수및 안내 : 채용 전용 홈페이지 (https://recruit.incruit.com/incheon/job/2404080010) 2024.4.11 재단법인 인천연구원장
홈 > 소통참여 > 채용 정보 > 채용 공고 -
[채용공고2024-15호]인천연구원 2024년도 제2차 직원(연구직) 공개채용
인천연구원 공고 제2024-15호 인천연구원 연구원 채용 공고 인천연구원은 인천시의 미래를 설계하고, 당면문제를 해결하여 시민의 삶의 질을 제고하고자 인천광역시가 설립한 정책연구기관으로 유능한 연구인력을 공개모집 합니다. ■ 채용분야: 공공투자분석(도시계획,행정,경영 등) 및 도시계획(도시계획 및 건축)분야 연구직 ■ 모집인원: 박사급 연구직 2명(모집분야별 각 1명) ■ 해당직종: 부연구위원 이상 정규직 ■ 직무내용: 연구수행 및 정책지원 ■ 접수및 안내 : 채용 전용 홈페이지 (https://recruit.incruit.com/incheon/job/2404020027) 2024. 4. 04. 재단법인 인천연구원장
홈 > 소통참여 > 채용 정보 > 채용 공고
직원정보 (169건)
-
2023년 8월 업무추진비
2023년 8월 업무추진비
홈 > 정보 공개 > 행정정보 공개 > 업무추진비 -
2023년 7월 업무추진비
2023년 7월 업무추진비
홈 > 정보 공개 > 행정정보 공개 > 업무추진비 -
2023년 6월 업무추진비
2023년 6월 업무추진비
홈 > 정보 공개 > 행정정보 공개 > 업무추진비
-
[채용공고2025-16호]자연환경분야 초빙연구원 채용공고.hwp
홈 > 소통참여 > 채용 정보 > 채용 공고 -
2024 하반기 컨설팅 교육집.pdf
홈 > 인천공공투자관리센터 > 센터 행사 -
2025년도 상반기 교육자료집.pdf
홈 > 인천공공투자관리센터 > 센터 행사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